남북정상 공동기자회견
김정은 위원장 ‘육성’ 발언
트럼프, 긍정적 입장 보여
정부, 美에 특사 보내 설명
한미정상회담서 논의할 듯
내달 북미정상회담 기대도

▲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평양 옥류관을 방문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오찬을 하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평양 옥류관을 방문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오찬을 하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선반도(한반도)를 핵무기도 핵위협도 없는 평화의 땅으로 만들기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가기로 확약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전세계로 생중계된 문재인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반도를 ‘핵무기도 핵위협도 없는 평화의 땅’으로 만들겠다고 육성으로 말했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발언은 그가 국제사회가 보는 앞에서 직접 내놓은 첫 ‘비핵화육성’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교착 상태에 빠졌던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다시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우선 김 위원장이 직접 육성으로 비핵화와 관련한 추가 조치에 대해 구체적 의사를 밝힌 것이 북미협상 동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시각으로 심야 시각인데도‘평양공동선언’이 발표된 직후 자신의 트위터에“매우 흥미롭다”는 글을 게재해 남북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긍정적 입장을 내비쳤다.

남북 정상이 19일 발표한 ‘9월 평양공동선언’에는 북한의 ‘진전된’비핵화 조치와 의지가 담겼다. 우선 “남과 북은 한반도를 핵무기와 핵위협이 없는 평화의 터전으로 만들어나가야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실질적인 진전을 조속히 이루어나가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못박고 있어 핵무기와 핵 없는 한반도를 만들겠다는 선언적 의미가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북한은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관련국 전문가 참관 하에 우선 영구적으로 폐기한다는 내용과 미국이 상응 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와 같은 추가적인 조치를 북측이 계속 취해나갈 용의가 있다는 뜻을 표명했다.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 폐기는 앞서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착수해 현재 진행되는 조치이지만, 그동안 국제사회는 이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여왔으며, 김 위원장이 이번에 이에 대해 ‘명쾌한 대답’을 내놓은 셈이다.

과거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당시에도 북측은 외무성 공보를 통해 전문가 참여 입장을 밝혔다가 결국 전문가들이 배제됐지만, 이번에는 남북 정상회담 합의문에 담긴만큼 실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또 미국의 상응 조치를 전제로 하기는 했지만,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와 같은 추가적 조치를 내놓을 용의가 있음도 밝힌 점도 북측이 미국과의 후속 협상을 염두에 두고 비핵화 조치에 대한 진정성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영변 핵시설 등 폐기 용의에 대해서는 미국 측이 그동안 종전선언에 대한 상응 조치로 요구해온 ‘핵 리스트 신고’에 대응해 나온 ‘역제안 카드’라는 분석도 있다.

이날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취재진과 만나 “(비핵화 관련) 공동선언 내용 이외에도 많은 논의가 있었다”며 “논의의 결과를 토대로 내주 초 뉴욕 한미정상회담에서 북미 비핵화 협상도 좀 더 속도를 낼 방안들에 관해 양 정상 간 심도있는 논의가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비핵화 관련 우리 정부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을 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고 평가했다.

결국, 이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의‘성과’를 얼마나 높이 평가하느냐에 비핵화 협상 진전 여부가 달린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조만간 미국에 특사나 외교 당국자를 파견해 남북 정상이 합의한 내용과 김 위원장의 ‘속내’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담에 배석한 정의용 실장이나 대북 협상을 이끄는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의 방미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어 지난 18일(현지시간) 개막한 뉴욕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회담에 대한 상세한 내용과 김정은 위원장의 솔직한 입장을 직접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이런 과정에서 북미 간 접점을 찾게 된다면 다음 달 초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제4차 방북이 구체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폼페이오 장관은 당초 지난달 말 방북 예정이었으나 막판에 연기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도 11월 6일 미 의회 중간선거를 앞두고 지지율 하락에 직면한 상황에서 북미 협상 진전을 통해 분위기 전환의 돌파구로 활용할 여지가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평양 남북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유엔총회를 계기로 한 한미정상회담, 폼페이오 방북 등으로 상황이 잘 전개된다면, 다음 달 제2차 북미정상회담 성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