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의 추가 이전 계획을 발표하면서 전국 10곳의 혁신도시들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보였다. 일부도시에서는 혁신도시의 기능적 보완을 위해 공공기관 유치TF팀 가동에 들어갔다. 또 대구 동구의회는 4일 수도권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물론 이전 대상 공공기관과 일부 정치인의 반대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지방의 입장에서는 공공기관 추가 이전이 지역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줄 것이란 기대감은 분명해졌다.

2007년 참여정부 시절 시작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은 중앙정부의 독점적 정치형태에 떠밀려 있던 지방의 입장에서는 큰 전환의 정책으로 받아들였다. 따라서 혁신도시를 끼고 있는 광역단체들은 혁신도시와 연계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대를 가진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혁신도시들이 지역 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는지 와는 별개로 혁신도시에 대한 기대감은 대단했다. 이러한 기대와는 달리 혁신도시들은 정주여건 미비와 지역과의 조화를 제대로 살려내지 못해 혁신도시의 활성화는 기대와 함께 지역의 과제로 남아있었다.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넘겨받은 ‘혁신도시 기업 입주 현황’ 자료에서 드러난 것처럼 혁신도시의 기능을 높이기 위한 보완책은 지속적으로 있어야 한다. 자료에 의하면 이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조성된 혁신 클러스트 면적 312만4천㎡ 중 실제로 기업이 입주된 면적은 2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율이 가장 높은 도시인 대구가 45.9%로 절반을 채우지 못했고 경북(9.8%), 충북(7.3%), 강원(5.6%) 등은 한자릿수에 머물렀다. 혁신도시 입주기업 수도 올 6월 기준 639개사지만 광주전남, 부산, 대구, 경남 등 4곳이 81.5%를 차지했다. 제주는 현재까지 입주기업이 한 곳도 없었으며 전북은 4개사, 충북은 19개사로 밝혀졌다.

혁신도시에 공공기관은 있으나 기업은 없는 상태였다.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은 관련 기업의 이전을 유도하고 다수의 외지기업들이 혁신도시로 입주하면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의도였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공공기관은 지역과의 밀착도가 떨어지고 공공기관 유치의 효과를 상승시킬 기업 입주는 저조한 모양새다.

문재인 대통령의 선거공약이었던 ‘혁신도시 시즌2’도 기업의 입주를 장려하고 기업과 연구소가 협력해 혁신적 창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는 2022년까지 혁신도시 내 1천개의 기업을 유치하고 2만여 명의 고용 인력을 창출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번 공공기관 추가 이전을 계기로 혁신도시 내 기업의 유치를 보다 적극화해 명실공히 혁신도시가 지방경제 활성화에 절대적 기여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혁신도시 건설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줄이고 국토 균형발전을 가져오는 동력이 되게끔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