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여인들 ⑩

▲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대화다. 1천 년 전을 살았던 신라 여성들과 21세기 한국 여성들이 만난다면 과연 어떤 대화를 나누게 될까? /삽화 이찬욱

영화 ‘이유 없는 반항’과 ‘에덴의 동쪽’ 주연배우로 잘 알려진 제임스 딘(James Dean·1931~1955). 겨우 스물네 살에 교통사고로 사망한 그가 다음과 같은 근사한 말을 남겼다는 걸 기억하는 이들은 많지 않다.

“살아가는 이유를 발견하고자 하는 건 인간이란 존재만의 특징이다.”

다분히 철학적인 문장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제임스 딘이 지적한 바 ‘인간이 살아가는 이유’는 어디에서 찾아내야 하는 것일까? 역사학자들은 이렇게 조언한다.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것은 우리의 오늘을 보다 명확하게 해석하는 가장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아득한 옛날 존재했던 왕국 신라. “그 시절 여성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란 단순하고 소박한 질문에서 이 기획기사는 출발했다.

여성의 삶을 탐구하는 건 인간보편의 삶을 학습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믿음 또한 있었다.

그랬다. 10세기 저편 신라 시대 사람들의 삶과 죽음, 희망과 절망, 빛과 그림자, 꿈과 환멸이 궁금했다. 하지만 이것들 모두를 짧은 지면에 다 담아낼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신라의 여인들’에 포커스를 집중해 보편적 신라인(人)의 삶을 조명하는 방식을 택한 것은 그 때문이다.

기사를 연재하며 신라 시대 여성의 지위와 사회활동이 보통 사람들이 생각한 것 이상으로 높았고 활발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상·해석학적 교육연구’에 실린 하현진의 논문 ‘화랑세기에 나타난 신라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활동’에서의 서술은 과장이 아니었다. 이런 대목이다.

“유교적 여성관이 강조되기 이전 한국 고대 사회에 관한 기록을 살펴보면 여성도 남성 못지않게 사회적 지위가 높았고, 공적인 영역에서 활발히 활동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신라는 고구려나 백제는 물론 그 후대인 고려나 조선에도 존재하지 않았던 여왕이 세 명이나 등장한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큰 힘을 지니고 정치 분야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 신라의 동궁과 월지를 재현한 조형물 앞에서 관광객들이 ‘역사’와 ‘그 역사 속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신라의 동궁과 월지를 재현한 조형물 앞에서 관광객들이 ‘역사’와 ‘그 역사 속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여왕 이상의 정치적 실권 가진 여성도 존재했던 신라

사실이 그랬다. 신라는 이 땅에 존재했던 어떤 왕조국가에도 없었던 여성 최고 통치자가 3명이나 있었다.

선덕여왕, 진덕여왕, 진성여왕이 바로 그들.

탁월한 미학관을 갖춘 선덕여왕은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당대 남성 엔지니어들을 뛰어넘는 능력을 보여줬다. 진덕여왕 역시 실질적 군사 지휘권을 장악하고 있던 김유신을 왕궁으로 불러 호통을 칠 정도로 드높은 기개를 가진 여성이었다. 진성여왕은 ‘무능력’과 ‘성적 타락’이라는 학계의 공격을 받고 있지만, 재위 기간에 보여준 ‘백성에 대한 애정’과 ‘사리사욕 없음’은 재평가 받아야 할 가치가 충분해 보인다.

비단 여왕들만이 아니다. 신라 역사에는 왕과 어깨를 견줄만한 정치권력을 행사한 여성도 등장한다. 바로 ‘미실’이다. 아래는 이와 관련된 하현진의 논문 중 한 대목.

“신라는 개방적인 성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남녀 관계는 쌍방향적이고 호혜적이었다. 미실은 색공(色供)을 통해 자신의 신분을 단계적으로 상승시켰고 정치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왕의 즉위와 폐위에까지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이처럼 여성이 왕이 될 수도 있었고, 여성 정치실력자가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신라 사회가 여성과 남성을 동등하게 생각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신라의 여성들은 남성과 평등한 인격체로 존중받았고, 남성보다 더 많은 권력을 지니기도 했던 것이다.”

신라의 여인들이 정치 분야에서만 두각을 드러낸 것은 아니다. 고전문학 연구자들로부터 신라 시대 대표적 시가로 평가받는 ‘헌화가(獻花歌)’와 ‘해가(海歌)’의 주인공인 수로부인은 그 미모가 전설 속 짐승인 용까지 유혹할 정도로 빼어났다고 전해진다. 그녀는 우리 고대문학에 비밀스런 상상력의 숨결을 불어넣은 매력적인 여성임에 분명하다.

‘화랑의 전신’으로 불리는 원화(源花)를 주도했던 두 여성 준정과 남모의 이야기도 여러 가지 함의를 담고 있기에 흥미롭다. 준정과 남모의 행적을 기록한 문헌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수백 명의 남성을 이끌던 리더십 강한 두 여성이 단순히 ‘질투’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서로를 죽이고 싶을 만큼 미워했을까”란 의문이 생기는 게 어찌 보면 당연하다.

여기에 오십 살의 나이 차이를 훌쩍 뛰어넘은 소지왕과 벽화의 열정적인 ‘러브 스토리’, 비단 한 필로 언니의 꿈을 사서 태종무열왕의 아내가 되는 문희의 에피소드도 낭만적이다. 동시에 보다 심도 깊은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 국립경주박물관에선 1천 년 전 서라벌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추측케 하는 모형과 만날 수 있다.
▲ 국립경주박물관에선 1천 년 전 서라벌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추측케 하는 모형과 만날 수 있다.

◆ 전하지 못한 신라 여성들의 이야기

새삼스럽게 에드워드 카(Edward Carr·1892~1982)를 인용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이미 잘 알고 있다. “역사란 결국 과거의 ‘그들’과 현재의 ‘우리’가 나누는 끊임없는 대화”라는 걸.

신라 시대를 살았던 세 명의 여왕(선덕·진덕·진성)과 미실, 수로부인과 준정·남모, 벽화와 문희…. 독자들이 대화하고 싶은 신라의 여성이 이들만은 아닐 게 분명하다.

‘삼국유사’ ‘삼국사기’ ‘화랑세기’ 등에는 그녀들 외에도 수많은 신라 여인들의 삶과 죽음이 길게 혹은, 짧게 기록돼 있다. 어떤 이야기는 슬프고 어떤 건 재미있으며, 몇몇 일화는 놀랍고도 감동적이다.

지금으로부터 2천여 년 전 태어난 알영부인(閼英夫人)은 신라의 첫 번째 왕 박혁거세의 아내다. 용의 옆구리에서 나왔다는 설화가 전하는 알영은 닭의 부리와 같은 입을 가진 여자아이였는데 신성한 우물에서 목욕을 시키자 그 부리가 떨어졌다고 한다.

그녀는 외모만 빼어났던 것이 아니라 인성까지 선량하고 자애로웠기에 박혁거세가 인자한 군주로 자리매김 하는데 큰 도움을 줬다.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선화공주(善花公主)의 이야기도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았다. 진평왕의 딸 중 가장 미모가 빼어났던 선화공주는 훗날 신라의 라이벌인 백제의 무왕(武王·재위 600~641)이 되는 서동(薯童)의 계략에 의해 혼인에 이르게 된다. 개인적으론 그 결합이 크게 불행하지 않았으니 다행스런 일이다.

신라에는 여성 시인도 드물지 않게 존재했다. 희명(希明)은 서라벌 백성들이 인정한 향가(鄕歌) 작가다. 경덕왕 시절 쓴 것으로 알려진 ‘도천수관음가(禱千壽觀音歌)’. 이 향가에는 병을 얻어 눈이 멀어버린 자식을 위해 애절한 기도를 올리는 어머니의 서러운 마음이 잘 표현돼 있다고 한다.

 

▲ 사람들에게 비교적 잘 알려진 신라의 여성들. 선덕여왕, 진덕여왕, 진성여왕, 미실, 준정·남모를 작가의 상상력을 동원해 같은 자리에 모았다. 그녀들의 환한 웃음이 의미심장하다.  /삽화 이찬욱
▲ 사람들에게 비교적 잘 알려진 신라의 여성들. 선덕여왕, 진덕여왕, 진성여왕, 미실, 준정·남모를 작가의 상상력을 동원해 같은 자리에 모았다. 그녀들의 환한 웃음이 의미심장하다. /삽화 이찬욱

◆ 지속돼야 할 ‘신라’에 대한 탐구

이외에도 요석공주, 선묘낭자, 원명부인, 도화녀, 강수부인 등 독자의 관심과 역사학자들의 연구를 기다리고 있는 신라 여성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언젠가는 그녀들의 생애에 관해서도 쓸 날이 오지 않을까? 길고 지루했던 여름이 우리 곁을 떠날 준비를 서두르던 며칠 전. 경주시 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을 찾아 1천 년 전 서라벌 시내를 재현해놓은 조형물을 오래 들여다보았다.

“그 시절 신라 사람들은 어떤 꿈을 꾸고 무엇을 희구하며 살았을까”, “그들을 웃기고 울린 건 뭐였을까”란 궁금증이 이어졌다. 바로 이러한 ‘지적 호기심’이 앞으로도 신라의 여인들, 아니 ‘신라’라는 나라 전체에 대한 탐구열정을 자극할 것이 분명하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끝>

 

관련기사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