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이 아직도 지진 피해에서 제대로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경북 동해안권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 등 잇따른 악재로 허탈 상태에 빠졌다. 월성원전 1호기 조기 폐쇄와 영덕과 울진 등에 건립기로 했던 원전사업이 백지화되면서 이 지역이 받게 된 경제적 타격은 만만치가 않다. 포항지진에 대한 정부의 찰떡같은 약속도 시간이 지나면서 흐지부지해지는 모양이라 자치단체 혼자서 감당해야 할 일들이 너무 벅차다.

경북동해안권 100만 주민은 그동안 국가경제 발전을 위해 원전이란 부담을 안고 왔으나 정작 지역발전이란 측면에서 보면 여전히 소외권에 머물고 있다. 국토 전체로 보더라도 이 지역의 사회간접시설은 아직 미흡한 상태다.

경북동해안 5개 시군(포항, 경주, 영덕, 울진, 울릉)의 협의체인 경북동해안상생협의회가 민선 7기 출범과 함께 첫 모임을 가졌다. 지난 2015년 11월 창립총회를 가진 협의회는 그동안 경북동해권 주민의 삶과 행복을 위해 서로 협력키로 약속하고 상생협력 방안을 모색해 왔다. 2016년에는 동해안 주민이면 포항, 경주에 이어 울릉도 주요 관광지에서도 무료입장과 할인 혜택을 주었다. 동일 생활권 주민으로서 연대감을 심어 준 본보기였다.

그러나 민선 7기를 맞는 경북 동해권은 과거와는 다르게 현안이 산적해 있다. 이런 지역의 현안을 자치단체 혼자서가 감당하기는 역부족이다. 동일권역의 자치단체가 힘을 뭉쳐 현안 해결에 나서야 상생 길이 보인다. 지역 현안이라지만 따지고 보면 경북 동해권 공동의 일이다.

첫 모임을 가진 민선 7기 상생 협의회는 △북방 경제협력 중심기지 육성 △북방으로 향하는 동해선 철도와 동해고속도로 조기 완성 △동해권 교통 인프라 및 관광벨트 조성 △동해권에 지진 원전 안전시설 및 연구소 유치 등의 내용을 합의했다고 한다. 특히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피해에 경북 동해안권이 공동대처하자는 데도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당연한 일이다.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원전 집적지의 의견 수렴과 설득없이 원전 조기폐쇄와 같은 조치를 단행하는 바람에 해당지역은 막대한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 이로 인한 뿔난 민원을 자치단체만 감내할 부분은 아니다. 정부에 실상을 제대로 알리고 민심을 달랠 정부의 성의있는 답변을 얻어야 한다.

원전문제만이 아니라 경북 동해안권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가 많다. 동해안을 잇는 철도의 조기건설과 관광지 벨트화 등 시군이 협력해야 성과를 낼 수 있는 현안이 수두룩하다. 또 현 정부의 북방정책과 연계한 경북 동해안 도시의 역할도 미리미리 준비해야 할 일이다. 소도시 혼자의 힘보다는 다수가 힘을 합칠 때 성과도 높다. 강릉시 등 강원도 6개 시군도 경북처럼 강원도 동해권 발전에 힘을 모으고 있다고 한다. 혼자보다는 연대를 통한 상생의 길이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