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 지역의 경제가 좀처럼 활력을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두 지역의 경제통합을 위해 결성된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원회(한뿌리상생위)에 대한 관심이 높다. 민선 7기 출범과 함께 두 지역이 탁상공론이 아닌 제대로 된 ‘실행능력’을 발휘해 명실상부한 대구경북의 상생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주문이 나오고 있다.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위한 배전의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철우 경북지사와 권영진 대구시장은 13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원회’ 총회에서 대구·경북 경제통합의 핵심전략과 로드맵을 드러냈다. 두 광역단체장은 이날 구체적인 상생방안과 목표를 천명한 ‘대구·경북 한뿌리 공동선언문’도 채택했다.

이 지사는 대구경북 통합의 핵심으로 경북에 인구 100만 도시 두 곳을 건설해 기존 메트로폴리스(거대도시)인 대구와 광역전철망으로 연결, 광역경제권을 형성하여 대구경북의 번영을 꾀하는 방안을 밝혔다. 그리고 ‘대구포벨트(대구~구미~포항 벨트)’ 안에 지정된 경제자유구역에 기업유치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해 성공시킨다는 복안도 나왔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각종 조세감면과 자금지원, 규제완화, 원스톱서비스, 외국교육기관 설립 및 병원설립 혜택 등으로 기업의 투자여건을 대폭 향상돼 도시발전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대구경북은 지난 2014년 정부 차원이 아닌 지역 자생적 기구로 ‘한뿌리상생위’를 출범시켰다. 한뿌리상생위는 그 동안 5차례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35개의 상생과제를 선정하는 등 ‘상생’을 부르짖어왔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는 유명무실한 기구로 전락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철우 지사 역시 평소 “각 자치단체들은 서로를 공동운명체로 생각하지 않고 자신들만의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하는데 골몰해왔다”고 비판해왔다.

경북도와 대구시는 1981년 분리된 이래 줄곧 ‘경쟁’에만 골몰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역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은 “대구와 경북은 말로만 ‘한뿌리’이고 ‘형님, 아우’라고 했지, 실상은 그렇지도 않았다”는 매운 지적을 서슴지 않는다. 결국 중요한 것은 이런 저런 통합계획을 만들어 발표하고 선전하는 일보다도 대구경북의 지역민들의 ‘심리적인 통합’이 우선적으로 추구돼야 한다는 점이다. 날로 피폐해져가는 지역경제 사정을 감안하면 근시안적 지역이기주의에 머물러있을 이유란 전혀 없다. 한뿌리상생위가 그럴 듯한 탁상공론 만들어놓고 행사나 주관하고 생색내는 조직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감동적인 ‘실행능력’으로 시너지효과를 창출해 괄목할 성과를 일궈냄으로써 지역민들의 의식을 하루빨리 바꿔놓는 것이 중요하다. 대구경북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지금 뭉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