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비만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로 등극한 것은 2014년도다. 인구 기준으로 중국은 8천960만 명이 비만으로 조사돼 그동안 8천780만 명으로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던 미국을 앞섰다.

중국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중국인 식생활의 서구화가 불과 40여 년만에 중국을 세계 최고 비만국가로 탈바꿈하게 했다.

우리나라도 불과 50~60년 전만 해도 외국에서 식량을 지원받아야 할 만큼 식량난에 쪼들린 국가였다. 비만은 부자의 전유물로 인식되던 시절이 있었다. 배 나온 사장님이 부러웠던 때였다. 그러던 것이 어느 듯 국민의 비만을 걱정해야 할 나라로 바뀌었으니 이것이야말로 상전벽해(桑田碧海)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우리나라 고도비만 인구가 2030년에 가서는 현재의 2배 수준에 이를 것이라 경고했다. 2015년 기준 5.3%의 고도 비만율이 2030년에는 9.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비만은 이젠 질병으로 분류돼야 할 정도로 사회경제적 손실도 작지 않은 사회문제다.

정부가 지난달 24일 국민비만관리 종합대책을 내놨다. 2016년 현재 34.8%인 국민 비만율을 2022년까지 현행대로 유지시키며, 이를 위해 영양, 운동, 비만치료, 인식개선 등의 다각적 사회적 노력을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 방법의 일환으로 정부가 밝힌 먹방 규제는 곧바로 논란에 휩싸였다. 정부는 “먹방과 같은 폭식을 조장하는 미디어(TV, 인터넷 방송)에 대해서는 2019년까지 가이드 라인을 개발하겠다”고 했던 것이 불씨가 된 것.

야당에서는 먹방 규제는 “국민을 어리석은 백성 취급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며 ‘국가주의 문화’라며 맹렬히 비판했다. 사회 일각에서도 정부의 먹방 규제 발상에 반발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어쨌거나 자꾸 뚱뚱해지는 국민을 그냥 둘 수는 없는 일이다. 국가가 관리하든 개인이 관리하든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비만에 대한 대책은 있어야 하는 것이 옳다. 먹방 문화를 바라보는 정부의 성찰이 먼저 있고 비만 대책에 나서는 것이 순서일 것같다.

/우정구(객원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