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강효상 의원(비례대표)의 요청에 따라 환경부가 “업체명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구미공단 내 과불화화합물 배출업소 명단을 강 의원에게 제출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대구 수돗물에서 검출된 환경 호르몬 과불화헥산술폰산을 배출하고 있는 구미산업단지 내 업체는 모두 61곳이다. 이 숫자는 구미공단 91개 업체의 3분의 2에 해당하며, 그 중 4개 업체만이 검출 농도가 높다는 이유로 자발적 저감조치를 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57개 업체에 대해서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한다. 57개 업체가 배출한 과불화헥산술폰산은 호주의 권고 기준치보다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라는 환경부의 설명이다. 국내는 과불화헥산술폰산과 관련한 기준치가 현재 없다. 업종도 공개됐다. 반도체 및 전자제품 제조시설과 영상 및 음향기기 제조시설 등이었으며 저감 조치한 4개 업체도 동일한 업종인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업체명단 공개까지 오는 과정에서 보여준 환경부의 대응이 사태를 키운 측면이 크다는 것이다. 대구시민뿐 아니라 대국민 불신감도 덩달아 커졌다는 지적이다. 특히 과불화화합물 검출과 관련한 대구수돗물 파동은 근본적으로 대구 취수원 이전과 맞물려 있어 이 같은 불신을 해소하지 않으면 사태를 수습하기가 매우 어렵다.

환경부는 지난 5월 17일부터 실시한 구미공단 내 폐수배출 업체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이면서 그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언론에 보도된 이후에야 사실을 알리며 해명하는데 급급했다. 발암물질의 일종인 과불화화합물을 배출한 업체 명단공개도 언론보도 이후 40일 만에 이뤄졌다.

국민의 먹는 물인 수계를 담당하는 환경부가 불리한 자료를 숨긴다는 인상주고 있으면 국민은 수돗물에 대한 불신을 쉽게 지울 수 없다. 최근 환경부가 낙동강 수계 보존 방안으로 구미공단 내 대규모 폐수무방류시스템 도입을 두고 구미시와 협의를 벌인 사실이 뒤늦게 알려진 것도 넌센스다. 낙동강 수계의 원수를 믿지 못하겠다며 취수원 이전을 요구한 당사자인 대구시는 빼고 이 문제를 논의한 것 자체가 잘못된 발상이다. 그래서 밀실행정이라는 비난을 받아도 마땅하다.

환경부는 낙동강 수계 보전이나 원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는 대승적 차원에서 문제 접근에 나서야 한다.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 환경부가 머리를 맞대고 현안 해결에 나서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최근 논란이 된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유해성 여부도 환경부가 직접 해명할 필요가 있다. 아직도 많은 대구시민은 과불화화합물이 인체에 나쁜 영향이 없다는 환경당국의 말을 믿지 못한다.

강 의원의 지적처럼 과물화화합물에 대한 유해성 여부를 정확히 밝히고 그 기준치를 마련해 국민의 불신을 조금이라도 해소해 주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