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외주비 1천억원 증액… 1만5천여명 직원 혜택
최저가 낙찰제 폐지 등
“동반성장 모범사례” 평가
사회공헌 활동도 꾸준

▲ 포스코가 벌이는 다양한 봉사활동이 지역 상생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사진은 지난 14일 포항제철소 클린오션봉사단이 포항시 남구 동해면 입암2리에서 해양정화활동을 벌이는 장면. /포스코 제공

포스코와 외주파트너사·협력업체간의 상생경영이 튼튼한 뿌리를 내리고 있다.

특히 포스코는 지난해 9월 외주사들의 ‘두 자릿수 임금인상’을 위해 1천억원의 외주비를 증액하는 ‘통 큰 경영’에 이어 오는 2019년까지 외주비를 점진적으로 늘려 나가기로 했다. 외주비 인상으로 포항과 광양에서 근무하고 있는 1만5천여 명의 외주파트너사 직원들이 혜택을 받았다.

포스코는 중소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통한 동반성장을 실천하기 위해 지난해 4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중소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7년 1차 포스코 기술나눔 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포스코는 당시 300개의 우수기술을 나눔 기술로 제공했다. 이 중 69개 기술의 특허 83건을 24개 기업에 무상으로 이전했다.

지난해 11월부터는 500억원 규모의 ‘현금결제 지원펀드’를 조성해 자금 여력이 부족한 1차 협력사에 무이자로 대출해주고 있다.

1차 협력사가 2차 협력사에 구매대금을 30일 안에 현금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다.

포스코는 또 지난 3월 국내 대기업 최초로 제철소 설비와 자재 구매 시 가장 낮은 가격을 써낸 업체가 수주하는 ‘최저가 낙찰제’를 폐지했다.

포스코는 최저가 낙찰제가 중소기업 간 과도한 출혈경쟁을 일으켜 해당 중소기업의 수익 악화는 물론 설비와 자재의 품질 불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것이다.

포스코는 지난 4월부터 최저가 낙찰제를 대신한 ‘저가제한 낙찰제’를 기본 입찰 방식으로 채택했다.

포스코의 저가제한 낙찰제는 일정 가격(입찰 평균가격과 기준가격의 평균가)의 85% 미만을 써내는 입찰사는 자동 제외하는 제도다. 지나친 저가입찰을 예방해 동반성장을 추구하는 대표적인 제도다.

1980년대부터 포스코와 거래해온 (주)대동의 이용동 대표는 “포스코가 창립 50주년을 맞아 적정 이윤 확보가 가능한 저가제한 낙찰제를 기본 입찰제도로 채택하기로 한 것은 대·중소기업 간 상생경영의 모범사례”라고 평가했다.

포스코는 1968년 창사 이래 지속적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고자 1988년 자매마을 활동을 시작으로 2003년 ‘포스코 봉사단’ 창단, 2013년 ‘포스코 1% 나눔재단’을 설립했다.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리더들이 솔선수범하고,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봉사와 나눔은 포스코의 기업 문화로 정착됐다.

포스코의 대표적 사회공헌사업인 ‘포스코 스틸 빌리지’도 타 기업의 롤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철강 비즈니스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지역사회 요구를 반영한 사업이기 때문이다. 포스코의 철강재를 활용해 주택 건립에서부터 스틸 놀이터, 스틸 브리지 건축까지 가장 안전하고 튼튼한 마을 건축 구조물을 지어줘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또 임직원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설립한 포스코 1% 나눔재단은 매월 2만여 명의 그룹사 임직원 급여 1% 기부를 바탕으로 포스코 빌리지 등 임직원 봉사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이밖에도 포스코 직원들의 재능기부, 동해안 연안 생태계 보존에 앞장서는 클린오션봉사단의 토요봉사 등 포스코 외주·협력사 가 벌이는 다양한 봉사활동도 지역의 상생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김명득기자 mdkim@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