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원전해체연구소(이하 원해연) 유치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고 한다. 최근 청와대가 원해연 입지를 경북 동해안에 두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원해연의 입지에 대한 관심이 전례없이 높아지고 있다.

경북도는 원해연의 입지로 일찍부터 경주를 손꼽아 유치 홍보 활동을 벌여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당선 후 처음으로 찾은 청와대 방문에서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동해안을 입지로 거론한 것은 고무적이다. 특정지역을 염두에 둔 발언인지는 알 수 없으나 과거 문재인 대통령이 원해연 입지를 동남권이라 언급한 것에 비해 경북쪽을 배려한 발언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서 문 대통령이 언급한 동남권은 부산, 경남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으나 이번 동해안 발언은 이보다 신중하고 합리성있는 생각이라 평가된다.

경북은 우리나라 원전의 절반인 12기가 가동되는 지역이다. 특히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이미 건립이 준비 중인 영덕 천지원전과 신한울 3·4호기가 백지화되면서 지역민의 상실감이 큰 곳이다. 또 월성 1호기의 조기 폐쇄 결정 등으로 지역주민 반발과 지역경제도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형편이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원전 인프라가 풍부한 곳에 설립되는 것이 당연하고 합리적이다. 원해연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는 타 지역과 비교해 객관적 평가를 할 근거이기도 하다. 경주에는 원전해체를 담당할 한국수력원자력(주) 본사가 있으며 원전 설계 전문기업인 한국전력기술, 방사성 폐기물을 담당하는 한국원자력관리공단 등이 소재해 있다. 또 포스텍과 영남대 등 원전 관련학과와 인적자원도 유리한 지역이다.

특히 원해연이 경북에 입지하게 되면 경북은 원전의 설계-건설-운영-해체-처분의 원전산업 전주기가 완성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이로 인한 원전산업의 시너지 효과는 생각 이상 좋을 것으로 짐작된다.

경북도는 지난 11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국제원자력안전 및 해체산업 전문가 국제포럼’을 열었다. 이날 포럼에서 전문가들은 “원전 해체산업의 육성을 위해 국제간 기술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고 전하고 “한국도 관련 산업 육성에 대한 발빠른 대응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문가들은 이날 국가 원해연 입지로서 원전산업 전주기 생태계가 구축돼 있고 인력 확보가 유리한 경북은 최적지라고 평가했다.

이제 경북은 원해연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경주와 포항에서 연이어 발생한 지진과도 관련, 원전 안전을 위한 정부차원의 후속 조치와도 유관한 문제다. 경북이 원해연 입지로서 타당한 이유를 합리성과 논리성을 근거로 정부측을 설득해야 한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힘을 모아 정치적 고려 등으로 기울기 쉬운 정치적 오판을 막아야 한다. 경북도는 이제 원해연 유치에 명운을 걸어야 할 때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