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결과가 여당의 일방적 승리로 끝나면서 지방권력의 구도를 확 바꾸어 놓았다. 대구·경북지역도 예외는 아니었다. 자유 한국당 일색의 분위기에서 더불어 민주당이 약진하는 판세를 보였다. 자유한국당에 이어 더불어민주당이 다음 정치세력을 형성하면서 지방의 정치구도는 이젠 경쟁체제로 전환됐다고 말할 수 있다.

대구시의회는 시의원 30명 가운데 5명의 민주당 의원이 시의회로 입성하면서 임기 초반부터 상임위 배정을 두고 긴장감을 형성하고 있다. 경북도도 광역의원 60명 가운데 자유한국당 41명, 더불어민주당 9명, 바른미래당 1명, 무소속 9명으로 구성돼 일당 독주의 의회 운영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처럼 지방의회의 의석 분포가 확 달라지면서 적어도 대구·경북에서 만큼은 과거와는 다른 의회 운영을 볼 것이란 성급한 전망도 나온다. 특정 정당 독식에 의한 비민주적 운영에 제동이 걸리고, 협의와 견제를 통한 생산적 의회가 운영 될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바람직한 변화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본격적인 지방정부 시대를 앞두고 이 같은 변화는 지방정치의 성장을 위한 또 다른 보약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같은 정당별 의석 분포가 의회 운영의 건전성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하지 않고 지방정치가 중앙정치의 대결장으로 변질되는 일이 일어나서는 곤란하다. 2일 열린 대구시의회 임시회에서는 민주당 소속 의원 5명이 상임위원장 배분 합의 등을 요구하며 불참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한다. 견제와 균형을 위한 신경전으로 보이나 향후 의정 활동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을 예고하는 모습이다. 또한 기초의회에서도 원 구성을 두고 정당별 대결이 치열하다고 한다. 대구 서구, 북구, 달서구, 동구와 경북의 포항, 청도, 경산 등지도 원 구성에 진통을 겪고 있다.

의회 정치는 견제와 타협, 그리고 민주적 절차를 통해서 이뤄지는 것이다. 원구성 문제부터 지방의회는 협의와 타협을 통한 원만한 결과를 도출해 내야 한다. 지나친 고집으로 의회 운영의 묘를 망쳐서는 안 된다. 양보와 타협을 통한 협치의 정치력을 보여야 할 때다.

이제 민선 7기의 지방의회는 시험대에 올랐다. 다수의 자유한국당에 맞서 더불어민주당을 대응세력으로 등장시킨 것은 지역민의 뜻이다. 지역민이 바라는 민심의 정확한 의도를 살리는 것이야말로 지방의원들의 할 일이다. 일당 지배체제의 시의회가 제대로 역할을 못한 것에 대한 반성과 견제 세력으로 등장한 정당이 얼마나 제대로 된 역할을 하느냐가 관건이다.

여야 정당 모두가 변화를 선택한 지역민심을 옳게 읽고 과거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민생과 지역발전을 위한 대안세력으로 건전한 경쟁을 벌일 때 민심은 또 한번 그들의 노력을 평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