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란했던 6·13 지방선거가 끝났다. 당선자에게는 축복도 되겠지만 시대적 소명을 안고가야 할 소중한 의무도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번 6·13 지방선거는 북미정상 회담 등 대형이슈로 지방선거의 의미 전달이 많이 퇴색한 측면도 있다. 그러나 나타난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는 것이야말로 참다운 민주주의다. 아직도 우리의 선거 풍토 속에서는 고쳐야 할 부분이 많다. 이번 선거를 통해 또한번 모두가 경험한 일이다. 특히 선거방식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는 우리가 귀담아들을 대목이다. 시대가 바뀌고 세상이 달라지는데 아직도 구시대적 방식에 의한 선거를 치러야 하는 의문이 곳곳에서 제기된 것이다.

6·13 지방선거가 공식 선거운동 기간에 돌입하면서 확성기 소음과 유세차량의 불법주차, 현수막 난립 등 하루에도 수십 건의 민원이 폭주했다. 지역뿐 아니라 전국 곳곳에서 같은 민원이 발생했다. 확성기를 통해 흘러나온 상징노래는 인근 아파트나 주택단지로 여과없이 전달됐다. 그 소음의 크기가 약 80∼100db 정도로, 기차가 빨리 지나가는 철로변 주변의 소음정도라 하니 주민들이 짜증스러워하는 것은 당연하다.

휴대 전화에 쏟아지는 문자 폭탄도 많은 민원을 제기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민원센터에는 지난달 1일부터 약 한달 동안 1만 건이 넘는 개인정보 침해 민원상담이 있었다. 그 중에는 개인정보 출처 미고지가 32%로 가장 많았다. 자신의 전화번호를 알려주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알고 문자를 보냈느냐는 불만이다. ‘수신거부에도 지속적으로 문자가 수신된다’도 27%에 달했다. 현수막 설치와 유세차량의 불법주차 등으로 인한 주민 불편 호소도 이번 선거의 주요 민원이다. 특히 지방선거는 출마 후보자가 많아 주민들의 일상을 침해한다는 민원이 다른 선거 때보다 더욱 빈발하다. 선거 때마다 되풀이되는 민원이지만 뾰족한 대책도 없는 게 현실이다. 현행법에 규제 장치가 없기 때문이다. 선관위도 민원이 제기되면 현장에 출동해 소리를 낮춰달라고 하는 정도라 한다.

선거가 되면 선거운동이야 당연히 해야겠지만 주민들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찾아야 한다. 이번 선거에서 민원을 제기한 사람도 시대에 맞는 방법의 대안을 당국에 요구하고 있다.

국민의 세금으로 치러지는 선거비용도 줄여야 한다. 중앙선관위 자료에 의하면 6·13 지방선거에 소요되는 예산이 투개표, 보전비 등을 포함하면 약 1조원을 넘는다. 후보자의 현수막, 벽보, 선거홍보물 등 선거만 끝나면 곧바로 폐기되는 것이 과연 얼마만큼 선거홍보 효과를 내는지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6·13 지방선거는 끝났지만 선진적인 기법의 선거 방식이 필요하다는 과제는 남겼다. 이제부터라도 시대에 맞는 선거방식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