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 기본법이 우여곡절 끝에 4년 만에 국회를 통과했다. 박근혜 정부 시절 시작했다는 이유로 지역 특혜법 논란으로 폐기 위기에까지 몰렸던 대구지역의 물산업이 가까스로 지원 법률의 통과로 기사회생을 한 것이다.

국회는 2016년 6월 곽상도 의원이 발의한 물산업진흥법을 윤재옥 의원이 보완해 지난 1월 발의한 물산업법을 28일 통과시켰다.

대구 물산업 클러스터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이번 법의 통과로 대구 달성군 구지면 대구국가산업단지에 추진 중인 물산업 클러스터는 이제 예산지원과 함께 사업에 탄력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대구 물산업 클러스터는 2016년 첫 삽을 뜬 이후 현재 63% 정도의 공정을 보이고 있다. 투입된 예산만 현재 1천억 원을 훨씬 넘는다. 대구국가산업단지 내에 65만㎡ 규모로 조성되는 물산업 클러스터에는 물산업 집적단지, 실증화 시설 조성, 한국물기술인증원 설립 등 각종 시설이 갖추어지게 되며, 이런 시설들은 물관련 기업의 생산 활동을 지원하게 된다. R&D에서 상업화에 이르는 원스톱 서비스와 함께 해외수출 지원, 인력양성 등 물산업 육성을 위한 전반을 관리하게 된다.

현재 이곳에는 국내 최고의 물기업인 롯데케미칼을 비롯 20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전체적으로 시설이 완성되면 80개 정도의 기업이 유치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 사업으로 대구지역의 생산유발효과는 2천827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천267억원, 고용유발효과 2천871명, 취업유발효과 3천25명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무엇보다 전국의 물관련 사업을 대구시가 선도했다는 점에서 이 법의 통과가 주는 의미는 높다. 앞으로 대구는 물산업의 메카로서 전국의 물산업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물산업은 2016년 기준으로 세계시장 규모가 약 600조 원에 달한다. 반도체 시장의 약 2배 수준이다. 대구시도 이 같은 물산업이 대구의 새로운 신성장 동력으로 제대로 역할을 할 것이라 보고 있다. 대구시가 일찌감치 대구의 미래 전략산업으로 점찍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대구시는 2025년까지 대구의 물산업 비중을 전국의 10%까지 끌어올린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명실공히 물산업의 대표 도시로서 대구를 육성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번 법 통과에는 지역 정치권의 공이 매우 컸다. 여당의 공세를 뿌리치고 이 법을 통과시킨 정치권의 노력에 보답하는 길은 이 사업을 얼마나 잘 살려나가느냐에 달려 있다.

대구시는 이젠 안정적인 지원이 가능한 물산업 클러스터를 대구의 대표산업으로 육성, 대구가 물산업의 메카가 되도록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물산업이 특정지역의 특혜산업이 아니고 국가 성장을 위한 산업임을 입증시키면서 전국의 물산업을 선도해 나가도록 하여야 한다.

모처럼만에 대구에 좋은 소식을 들려준 물산업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