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가 후보자 등록을 마침으로써 출마자들의 윤곽이 드러났다. 전국적으로 이번 지방선거에는 9천362명의 후보가 등록했으며, 17개 광역단체장 후보는 71명이 등록해 평균 4.2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대구 394명, 경북 796명 등 대구·경북에서도 모두 1천190명의 후보자들이 지방의 일꾼임을 자임하며 선거전에 나섰다.

지방선거는 지방정부와 지방의회를 구성하는 핵심 요체다. 지방선거를 풀뿌리 민주주의라고 부르는 것도 지방정부를 구성하는 핵심적 인물을 뽑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방의 살림을 맡길 인물을 뽑는 지방선거의 분위기가 영 뜨지 않고 있다. 남북관계 등 중앙정치의 대형 이슈에 가로막혀 지방선거에 대한 관심이 전례 없이 부진하다. 자칫하면 후보자만의 리그로 전락할지 모른다는 우려도 있다. 투표율도 사상 최고로 낮아 지방선거 본래의 취지는 고사하고 지방소멸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최근 남북관계가 요동을 치면서 선거판을 흔들고 있다. 후보자들도 지방 이슈보다는 남북관계가 판세에 미칠 영향에 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당 후보들은 남북화해 무드를 선거의 호재로 이용하고 야당은 남북관계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제로 보수 세력의 결집을 기대하고 있다.

이번 선거는 문재인 정부 집권 이후 처음 맞는 전국단위의 지방선거다. 아직은 새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라 보기는 어렵지만 국민 민심의 향방을 확인할 소중한 기회는 된다. 특히 무엇보다 앞으로 4년간 내 고장의 발전을 이끌 지역 일꾼을 뽑는다는 데 조금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선거다. 내 고장 일꾼의 역량과 능력 등 인물 검증과 그들의 정책을 판단하는데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지금 지방은 지방분권 개헌에 대한 기대치가 과거 어느 때보다 높아져 있다. 당초 기대한 지방분권 개헌 약속이 정치권에 의해 무산됐으나 지방분권이 대세로 가면서 빠르면 강화된 지방분권 정치가 이뤄질지 모르는 시대를 맞고 있다.

지방의 재정자립도를 높이고 자치경찰제 도입 등도 검토해야 하는 등 지방의 자치경영 능력이 과거보다 높아져야 할 시기이다. 지방선거가 지방선거답게 치러져야 할 필요성이 간절한 때라는 것이다.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정치권에 책임이 있다. 유권자들의 관심을 유도할 지방선거 분위기를 띄울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남은 기간이라도 지방의 미래를 담보한 정책과 공약의 여야 대결로 지방선거가 활기를 찾도록 해야 한다.

대구·경북지역에만 해도 대구신공항 이전과 구미 낙동강 취수원 이전 등 수많은 현안들이 도사리고 있다. 후보들의 제대로 된 대안 제시가 지역발전을 가져오는 것은 당연하다. 유권자도 제대로 된 처방을 내는 후보를 선택하는 안목과 지혜를 가져야겠다. 그것이 지역 발전의 힘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