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R&D) 역량만 갖추면 규모에 상관없이 연구개발 특구로 지정받을 수 있는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8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연구개발 특구로 선정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현재 연구개발 특구는 연구소 40개, 대학 3개 이상 등의 지정요건을 갖춰야만 지정이 가능했으나 이번 특별법 개정으로 대학과 연구소, 공기업 등 혁신 역량을 갖춘 기관은 누구나 특구로 지정될 수 있다. 또 강소형 연구개발 특구는 특구 육성의 기능을 담당할 핵심기관의 지역 내 혁신성장을 이끌어낼 역량 평가에 무게를 둔만큼 규모에 구애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제도 혁신을 통한 운영 내실화와 혁신 시스템 정비를 통해 혁신성장 플랫폼의 신모델을 만드는데 포커스를 두었다는 점에서 그동안 연구개발 특구 지정을 염원해 왔던 지방의 중소도시들로서는 관심을 둘만한 사업이다.

포항시는 지난 4일 김정재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정책토론회에 재빨리 참석하는 대응력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이날 토론회는 ‘영일만 중심 강소형 R&D 특구 지정 및 발전방안’을 주제로 해 여러 면에서 시의적절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책토론회를 주최한 김 의원의 지적대로 연구개발 특구 지정 추진은 포항의 미래 먹거리를 위한 고민과 준비과정이다. 이미 포항은 포스텍을 비롯 유수대학과 연구기관들이 오랜 연구를 통해 특구 지정을 위한 밑그림을 그린 상태다. 포항시만큼 특구로서 인프라가 잘 갖춰진 곳도 드물다. 다만 그동안 연구개발 특구 지정에 따른 규모의 요건이 잘 맞지 않아 특구지정이 이뤄지지 않았을 뿐이다.

이날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대구경북연구원 김병태 박사도 “과기부가 추진하는 강소형 연구개발 특구의 모델로서 포항은 우수한 R&D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등 매우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이강덕 포항시장도 “포항시는 강소형 연구개발 특구가 지향하는 국가와 지역의 혁신성장 거점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성장 가능 도시”라고 자부했다. 누가 보더라도 포항은 연구개발 특구로서 역량이 있는 도시로 평가받는다. 이번 강소형 연구개발 특구 지정이 연구기관의 수가 아니고 연구 수행기관의 역량에 있다는 점에서 포항의 기대가 모아진다.

지금은 도시 간 무한경쟁의 시대다. 포항도 예외는 아니다. 인구 50만 명의 포항은 환동해 중심도시를 꿈꾸고 있다. 경북 유일의 물류 항만도시다. 사통팔달의 교통망까지 갖추며 동해선을 시작으로 한 남북경협에 대한 기대감도 큰 도시다. 연구개발 특구 조성은 산업생태계를 복원시키고, 산업의 경쟁력 제고는 물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든다. 포항의 미래를 위한 강소형 연구개발특구 지정에 총력을 쏟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