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인사 발탁할 통로
‘CEO 승계 카운슬’ 진행
‘보이지 않는 손’ 차단 관심

포스코 차기 회장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선임이 화두가 되고 있다.

그래서 포스코 측이 내주 초부터 진행키로 한 ‘CEO 승계 카운슬’의 투명한 운영에 지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우선 내부 승진이냐, 낙하산 인사냐다.

낙하산 인사 우려는 그동안 회장 선정과정에서 언론에 거론된 인사 가운데 실제 회장자리에 오른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는 점에서 나온다. 포스코는 명분상 민간기업이기는 하나 실제로는 공기업과 마찬가지로 취급돼 온 것이 사실이다. 정권의 최대 전리품의 하나로 간주돼 와 일반에 고급 정보가 유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언론에 거론된 피상적인 보도가 오보로 이어졌다고 볼수 있다. 권오준 회장도 선임 직전까지 후보 명단에도 오르내리지 않은 의외의 카드였다. 이번에도 권 회장과 같은 ‘갑툭튀’(갑자기 툭 튀어나온) 인사가 선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실제 포스코 주변에는 총리 출신인 여권 실세 L의원과 고교 동기라거나 문재인 캠프출신이다, 전직 B경제장관과 부산의 명문고 동문이라는 등 정치적 연줄이 벌써부터 나돌고 있다. 이들이 포스코 회장으로 선임되면 개인적인 능력을 떠나 정권과의 유착이 심해질 우려가 크다. 특히 글로벌 기업의 경쟁력 유지하기는 커녕 포스코가 무너질 것이라는 극단적인 우려마저 포스코를 아끼는 사람들 입에서 서슴없이 나오고 있다. 정부도 괜히 ‘관치 경영’한다는 비난을 자초하려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 자연스럽게 내부 선임으로 관심이 옮겨가고 있다.

내부인사를 발탁할 통로인 CEO 승계 카운슬이 과연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할수 있을까도 관심사다.

‘보이지 않는 손’의 막후 영향력을 차단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해 의구심이 적지 않다. 포스코 측은 사규상 선임 절차에 따라 진행하는 CEO 승계 카운슬 과정을 지켜봐 달라는 입장이다. 정치적 외압 없이 검증된 인사가 회장으로 선임되어야 한다는 희망이다. 하지만 내부의 구조상 짬짜미 선임이 아닌 객관적이고 공정한 선임을 담보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동안 회장 선정에 막후 세력으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진 서울대 금속학과 출신들의 움직임도 주목된다. 이구택 전 회장을 비롯 권오준 회장, 김진일 전 사장 등 서울대 금속학과 라인은 아직도 포스코 안팎에서 건재함을 과시하고 있다는 평가다. 권 회장이 자리에 머물고 있는 한 이번 차기 회장 선임에도 이들의 입김이 어느 정도 작용하지 않겠느냐는게 포스코 주변의 우려다. 최근의 인사를 두고도 “권 회장 인사가 아니라 모 전임회장의 인사였다”는 소리가 파다하게 나돌기도 한 점은 예사로 넘길 수 없는 대목이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사내 인사들의 개인적인 면면으로는 대부분 훌륭한 경력을 쌓아 나름의 경쟁력을 갖췄다고 할수 있다. 다만 객관적이고 공정한 선임이 가장 관건이라는 소리가 지역에서 나오는 배경이다. 그런 점에서 CEO 승계 카운슬의 투명성 확보가 입방아에 오르고 있다.

특히 권오준 회장 재임중 선임된 포스코 사외이사들이 1차적으로 논란의 대상이다. 승계 카운슬에 참여하게 되는 사외이사들이 권 회장이 버젓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상황이 무언의 압력으로 작용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이런 논란을 불식하기 위해서는 CEO 승계 카운슬에서 권 회장의 입김을 차단하거나 별도의 추천위원회를 구성하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선임기구와 절차는 객관적이라고 해도 제도를 운용하는 인물들의 구성에 의문에 제기된면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는 불만의 소리가 나올수 있다. 정부가 포스코를 ‘관치 경영’한다는 비난을 피하려는 의도를 오히려 역이용해 ‘내사람 심기’를 시도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포스코 CEO 선임이란 과제를 무리없이 처리해 ‘정권도 살고 포스코도 사는’ 윈-윈방안은 CEO 승계 카운슬의 실질적인 공정성에 달려있는 셈이다. 물러나기로 한 권오준 회장이 손을 떼야 공정성이 어느 정도 담보된다는게 중론이다.

/김명득기자 mdkim@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