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바지에 접어든 자유한국당 대구·경북 지역 공천이 전례없이 보기 민망하다. 후보 결정에 대한 불복과 재심요구가 잇따르고, 집단 탈당으로 인한 무소속 출마 분위기가 대거 일면서 한국당의 매끄럽지 못한 경선과정에 지역민의 실망도 크다. 지역의 대부분 언론사들도 한국당의 기초단체장 및 광역의원 공천과정을 지켜보면서 “도를 넘었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그럼에도 지역 국회의원과 해당 공관위는 마이동풍(馬耳東風)식 태도다. 자유한국당이 TK지역 정서만 믿고 지역구 국회의원 입맛에 맞는 인사로 사천한 것이란 비난에 대해 오히려 ‘귀 막고 먼산 보는 식’으로 일관하는 것 같아 참으로 안타깝다.

자유한국당이 정권을 내주고 야당으로 밀려난 것이 공천 때문에 비롯된 것임을 알면서 공보다 사를 앞세운 지역 국회의원의 모습에서 지역민이 느끼는 감정은 어떨까 싶다. 자유한국당이 이 지경에 도달했으면서도 아직도 정신을 못 차린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아도 마땅하다.

공천이란 본래 뒷말이 나오기 마련이지만 그래도 공천과정이 투명하고 민주적 절차 등으로 진행되면 수습도 비교적 무난히 이뤄지는 게 보통이다. 지금의 상황으로 보아 한국당 내부의 갈등이 아물긴 쉽지 않아 보인다. 전략이란 이름으로 당협위원장이 지나치게 공천과정에 개입해 공관위원들조차도 “우리가 허수아비냐”는 불평을 쏟아내고 있다고 하니 더 설명할 것도 없다.

자유한국당의 이번 공천과정에 민주주의 방식인 경선과정이 대부분 지역에서 생략됐다는 것은 치명적인 잘못이다. 공정한 경선을 통해 후보가 결정이 된다면 승복하지 않을 사람은 없다. 이것이 가장 민주적인 결정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공천 기준조차도 애매하다. 그래서 사천(私薦)이란 말이 공공연하게 나온다.

달성군수나 대구 동구청장 후보가 된 인물이 지지율이 낮으면서 공천된 합당한 근거를 지역민에게 이해시켜야 잡음을 줄일 수 있다. 그렇지 못하면 국회의원 개인 이익에 맞춘 공천권 남용이거나 자기사람 심기, 경쟁자 배제 등 바깥에서 나도는 소문으로 이해될 수밖에 없다. 중앙공관위의 권고를 무시한 시도당의 태도도 공당으로서 바람직하지 못했다. 대구 남구의 경우 여성우선지역 선정이나 타지역의 재심수용 권고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세조차 보이지 않았다. 중앙공관위의 권고 사항이 누가 보더라도 간섭보다는 합리성에 근거하고 있는 데도 이를 거부한 것은 해당 당협위원장의 입장을 대변하려 한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자유한국당 대구시당은 대구 기초단체장 8곳 가운데 6곳의 후보를 전략 공천했다. 기초단체장 후보 면면에 대한 평가는 않겠으나 경선이라는 민주적 절차가 생략됐기에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부담은 당연히 당협위원장 몫이 돼야 한다. 이런 점을 지역민은 지켜보고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