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간 출생아가 한 명도 없었던 전국 읍·면·동이 25곳이나 된다. 그 중에서 경북도가 영주 평은면, 영덕 축산면, 김천 증산면 등 4곳으로 가장 많다. 이는 앞으로 30년 내 경북 23개 시·군 중 17개 시·군이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과도 연계된다. `언 발에 오줌 누기` 수준의 대책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을 찾아내야 할 때다. 농촌 정주여건(定住與件)을 실질적으로 대폭 개선하는 것이 관건이다.

요즘 농촌지역에서는 아기 울음소리가 귀하다. 어쩌다가 아기가 태어나면 주로 노년인 마을사람들이 구경하러 몰려다닐 정도다. 전국에서 가장 먼저 인구구조 역전의 위기를 맞고 있는 경북의 극심한 농촌 공동화현상은 심각하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난해 3월 기준 `한국의 지방 소멸` 연구 결과에 따르면 30년 내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지자체 10순위에 의성·군위·청송·영양·영덕·봉화군이 포함됐다.

소멸위험군에 해당하는 지자체는 극적인 반전이 없는 한 30년 내에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경북도내 평균 연령은 44세로 44.7세인 전남에 이어 두 번째다. 전국 지자체 평균 연령 41.2세보다 3세가 많다. 다른 시·군의 상황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상주시는 49.3세로 전국 시 단위 중 가장 많다. 의성군(55.1세)과 군위군(54.7세)은 전국 군 단위 각각 1·2위를 차지한다.

이처럼 위기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경북도는 인구절벽 해소를 위해 올해 5대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5대 추진 전략은 인구조정 컨트롤타워 구축,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도민인식 개선, 저출산 극복 선도모델 발굴, 아이 낳기 프로젝트 관련부서 협업 추진, 저출산 대책 평가·환류시스템 구축 등이다. 경북형 저출산 극복 선도모델 발굴 및 우수 시책 확산에도 나선다.

농촌 인구를 늘리기 위한 전략적 해법은 사람들이 대도시로 몰려드는 원인을 역설적으로 분석해서 찾아내야 한다. 많은 요인들이 있지만, 대도시지역이 농어촌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자녀교육, 취업, 의료안전망, 문화혜택에 있어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지역발전 전략이 소지역 균형발전 단계까지 끌어올려지지 않으면 대책이 없다는 얘기다.

가까운 곳에 좋은 학교와 일자리가 있고, 몸이 아플 때 믿고 찾아갈 수 있는 의료기관이 있어야 한다. 문화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함이 없다면 금상첨화다. 공원 등 도시기반시설과 문화·의료 등 필수시설을 일정 공간에 집약시키는 압축도시(Compact City)가 주목받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궁극적으로, 도시 삶과 농어촌 삶의 질이 균형을 이루게 하는 것을 정책의 목표로 두고 과감하게 투자해야 한다. 중앙정부나 자치단체가 해오고 있는 대증요법, 시혜적 정책은 미봉책은 될지언정 온전한 해법이 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