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의 주역들을 뽑는 6·13지방선거가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문재인정부 출범 후 첫 전국단위 선거로서, 치열하게 전개될 요인들이 적지 않다. 이제부터 유권자들이 매서운 눈으로 지켜볼 일은 각 정당들이 벌이게 될 공천행태다. 공천이 얼마나 공평무사하게 되는지, 어떤 정당이 공천혁명을 제대로 실천해 좋은 인재를 내세우는지 냉정하게 평가하고 감시해야 한다.

광역 및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 의원, 교육감까지 풀뿌리 지방 권력을 일괄 교체하는 이번 선거에서 승리하는 쪽은 정국 주도권을 확보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번 선거에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민심의 흐름이 깊이 반영될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구시대적 가치관을 답습하는 정치세력에게는 치명타가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을 등에 업은 더불어민주당은 광역단체장 기준 수도권 3석을 포함해 9석+α를, 자유한국당은 전통적 지지기반인 영남 중심의 6석+α를 목표로 세웠다. 바른미래당은 수도권 1~2곳을 포함해 최대 5명의 시도지사를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기대 이하의 성적표를 받는 지도부는 세찬 후폭풍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다. 전국적으로 볼 때 일단 집권당인 민주당에만 인재들이 몰려드는 형국이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만약 지방선거에서 실패하면 지도체제의 원심력 약화가 임계치를 넘어서는 위태로운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바른미래당도 유승민 대표와 안철수 전 대표가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내지 못하면 정치기반 자체가 흔들리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경북(TK) 지역에서 각 정당은 치열하다 못해 처절한 생존경쟁을 펼칠 공산이 높다. 민주당은 영남지역을 이른바 `김부겸 효과`를 이용한 전략지역으로 선정하면서 일전불사의 의지를 불태우고 있고, 한국당은 TK지역 사수에 모든 것을 건 모습이다. 바른미래당은 광역단체장을 한 곳에서라도 탄생시킨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그러나 여야 각 당의 이 같은 전력투구에도 불구하고 TK지역 예비후보자 선거캠프들은 아직 핵심인사를 제외하곤 현장에서 인력난을 겪고 있다. 각종 이슈성 정책대결에도 지역민들이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음으로써 예비후보자들은 부동층을 선거판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정책발굴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실정이다.

조만간 본격화될 공천과정을 눈여겨 살펴보아야 할 때가 도래했다. 전국적인 이슈보다는 어느 당이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할 참신한 인재를 제대로 발굴해내는지가 최대의 관심사가 돼야 한다. 특히 구태의연한 방식으로 패거리 공천행태를 보이는 정당과 인물은 혹독한 비판의식으로 정제해내야 할 것이다. 선거는 민주주의의 시작이요 끝이다. 유권자들이 지방선거의 중심에 서서 주인역할을 제대로 할 때 참다운 지방자치는 비로소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