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은 해외투자 자본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하여 각종 인프라, 세제 및 행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정된 경제특구다. 이를 관리 운영하는 기관이 각 지역에 설립된 경제자유구역청이다. 대구경북지역에는 2008년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이 설립돼 지역적 특성을 살린 `내륙형 지식경제자유구역`이란 새로운 모델을 개발키로 하고 의욕적으로 출범했다. 의욕적인 만큼이나 지역민의 기대도 컸던 게 사실이다.

경제적으로 취약한 대구경북지역에 국제화된 기업환경과 생활환경을 조성해 외국인 투자가 늘고 글로벌 기업의 중심거점으로 성장할 것을 기대한 것이다. 그러나 10년이란 긴 세월을 거쳤음에도 아직도 뚜렷한 성과가 없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좀 더 나은 성과가 나올 것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남아있다는 사실이다.

얼마 전 국무조정실 정부합동 부패예방감시단의 운영실태 조사에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방만한 경영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조실 발표에 따르면 대구경북청은 2005년 1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조합위원, 일반직원 등이 관광성 해외출장 한 것을 모두 27건 적발됐다. 함께 조사한 부산진해, 광양만권 등 3개 경자청에서 총 47건의 관광성 출장이 적발됐으나 그중 대구경북청이 가장 많았다. 국고 보조금을 부정 수급한 사실도 드러났으며 지역업체에 특혜를 준 사실도 적발됐다. 적극적인 지원 활동으로 실적이라도 월등했으면 “일하다보면 그럴 수 있겠다”고 용인을 하겠으나 실적도 하위다. 전국 8개 경자청이 작년까지 유치한 외자 총액 160억8천만 달러(한화 약 17조3천억 원) 가운데 대구경북은 2억3천만 달러(약 2천474억 원)에 불과했다. 전국 8개청 중 6위다. 누가 봐도 방만한 경영의 결과다. 대구경북청의 예산 심사. 감사 권한을 가진 시도의원, 지방정부 고위직에 대한 예우차원의 행사비 지출이 의심된다. 만약 그렇다면 국민 세금의 낭비다. 본연의 업무가 뒷전으로 밀린 꼴이다.

대구경북경자청은 얼마 전 새로운 청장을 맞았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는 기분으로 본연의 업무에 충실해야 한다. 출범 10년 만에 조직 개편도 준비했다. 조직 운영의 불합리한 점을 보완하고 해외출장과 사업추진의 투명성 등을 제고하고, 미래지향적 조직으로 탈바꿈한다고 한다.

새로운 조직을 통해 각오를 새롭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시스템의 변화와 더불어 구성원의 환골탈태의 각오가 없으면 안 된다.

과거의 잘못된 관습을 과감히 버리고 지역과 조직의 발전을 위해 매진하는 용기가 있어야 한다. 대구경북청을 전국 최고 경자청으로 만들어 내겠다는 혁신의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