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구미시가 한시적으로 공동운영하기로 한 새마을운동테마공원(새마을공원) 일부가 이르면 3월 중순께 시민들에게 개방될 것이라는 소식이다. 새마을 운동과 관련된 사업은 정권이 바뀔 적마다 논란이 돼왔지만, 엄연한 이 나라의 역사요 대구·경북이 그 메카임에 틀림이 없다. 시각이 다른 인사들의 모진 비판에도 불구하고 새마을 정신은 자랑스러운 유산이자, 발전적으로 지켜내야 할 과제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국비 및 지방비 907억 원을 들여 구미시 상모사곡동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 옆에 조성되는 새마을공원은 25만여㎡ 부지에 지상 3층·지하 1층의 주요 4개 건물과 야외 테마촌 등 총 35개의 건물이 조성돼 새마을 운동에 대한 교육·전시장소로 활용할 계획이다. 새마을유물전시관은 이미 시민들에게 개방된 상태이고, 그 외의 시설물들은 빨라야 오는 6월 정도에 개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새마을 운동은 1970년 4월22일 지방장관회의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근면·자조·자립정신을 바탕으로 한 마을가꾸기 사업을 제창하고 이것을 `새마을가꾸기운동`이라 부르기 시작한 데서 시작됐다. 열심히 호응하는 마을에는 더욱 지원을 늘리는 방식으로 경쟁적·선별적 방식으로 점화된 새마을사업은 단순한 농촌개발 사업이 아니라 공장·도시·직장 등 한국사회 전체의 근대화운동으로 확대·발전됐다. 열심히 일하고, 스스로 돕고, 홀로 서는 정신이 강조돼 전국 국민들의 의식개혁운동으로 발전된 이 운동은 국내외적으로 엄청난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이 운동이 1969년의 3선개헌, 1971년의 대통령선거와 비상사태선포, 그리고 1972년의 유신헌법 통과와 같은 권위주의 정권의 형성과정에서 진행됐다는 측면에서 박정희 정권의 `유신체제 정당화`의 수단이었다는 맹렬한 비판을 받는 것도 어김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전 국민들을 움직인 한 통치가의 성공적인 캠페인을 놓고 감정적 예단의 잣대로 통째 폄하하는 논리는 옳지 않다. 더욱이 새마을 운동의 중심인 대구·경북이 그 정신을 발전적으로 계승하는 일에 위축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할 수가 없다. 새마을공원의 운영권을 맡아 관리할 기관을 제대로 선정하지 못한 채 경북도와 구미시가 궁여지책으로 예산을 갹출해 한시적으로 공동 운영하기로 결정한 일은 참으로 유감스러운 현실이다.

새마을 운동의 역사와 정신은 그 눈부신 성과가 입증하듯이 모든 부정적 요소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 값진 것이다. 온갖 비판들을 발전적으로 왕성하게 소화하면서 시대를 넘어 그 정신의 깊이를 더욱 확대할 가치가 충분하다. 신념을 갖고 새로운 버전을 창출해내고 계승 발전시킬 의무가 오롯이 대구·경북에 있음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새마을 운동은 여전히 전 세계가 주목하는 대한민국의 빛나는 역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