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에 또다시 4.6 규모 지진이 강타하면서 도시 전체가 지진 불안감에 휩싸인 가운데 원전해체 기술 등을 담당하는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와 원자력안전위원회 유치가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국회 입법조사처가 원안위 지방이전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벌인 결과, 원안위의 지방 이전은 원해연과 연계돼야 한다는 것으로 결론이 나면서 양 기관의 지방유치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지난 2014년부터 원해연 유치를 위해 서명운동까지 벌여왔던 경북도는 국회 입법조사처의 결론에 따라 원해연 단독 유치에서 양 기관 동반유치로 전략을 수정하고 두 기관의 경북도내 유치에 총력을 쏟기로 했다. 특히 2016년 경주에 이어 포항지역의 잇따른 지진사태로 동해안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 원전관련 인프라가 집중된 경북지역에 원해연 등 두 기관을 유치하는 것이 지역사회를 안정시키는데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북도는 원해연 등 두 기관이 경북도내로 와야 하는 당위성으로 먼저 국내 가동 원전의 절반인 12기가 경북 동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점을 들고 있다. 안전성이 항상 담보돼야 하는 원전산업과 함께 일상을 지내는 지역민의 인내와 심리적 안정을 위해서라도 원전 밀집지역에 관련기관을 두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는 것이다.

국가 원자력안전관리 중추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를 비롯 원전해체센터를 원전밀집 중심부에 둠으로써 얻는 국민적 신뢰도 크다는 의미다. 경북 동해안 지역은 인구 저밀도와 넓은 임해 부지를 가지고 있으며, 수용성이 이미 확보됐다는 점에서 장점도 많다.

경주에는 원전 해체를 담당할 한국수력원자력(주) 본사가 있으며 원전설계 전문기업인 한국전력기술과 방사성 폐기물을 관리하는 한국원자력 환경공단 및 원전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한전 KPS 원전서비스센터 등이 현재 소재하고 있다.

또 포스텍, 동국대 등 원자력 관련 전공학과와 국내 유일의 원자력 마이스터고가 있어 인력수급도 매우 우수하다. 12개 대학이 밀집한 경산과도 1시간 이내에 인접해 있다. 만약 원전해체센터까지 이곳에 입지하게 된다면 경북은 원전의 설계-건설-운영-해체-처분의 원전산업 전 주기가 완성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이로 인한 원전산업의 시너지 효과는 더 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다.

전국 어느 곳을 둘러봐도 이 같은 여건 및 입지가 확보된 곳은 없다. 정부가 추진하는 원전정책이 성공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산업의 일체성이 높은 지역을 선택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정책적 배려보다는 산업의 전술적 선택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줄 기회이기도 하다. 수 십년 원전과 함께 생활한 지역민에 대한 보상의 의미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