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통합공항 이전문제가 대구시장 선거전의 최대 이슈가 된다는 전망이다. 이미 예측은 한 일이지만 현재의 분위기로 봐 뜨거운 이슈만큼이나 실효성이 얼마나 있을지는 의문이다. 만약 공항이전에 대한 정치공방이 파열음만 남긴다면 이슈화에 대한 책임도 누가 져야 한다.

대구통합공항 이전 논의는 2016년 박근혜 정부가 영남권 신공항을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지으면서 시작됐다. 대구지역 군공항의 소음문제와 민간공항 활성화를 위해 군 및 민간공항의 통합 이전을 제시했고 대구시가 적극 수용하면서 진척이 이뤄져 왔다. 현재는 대구시와 경북도, 군위, 의성 등 4개 자치단체가 군위와 의성 두 군데를 모두 이전부지로 선정해 줄 것을 국방부에 건의한 상태다. 이제 국방부의 선택만 남았고 후보지 선정이후 진행 상황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공항이전을 둘러싼 찬반논란이 우리지역 이익에 도움이 되느냐 하는 것은 따져볼 만한 일이다.

대구시장 재선 도전을 노리는 권영진 대구시장은 통합공항의 이전을 찬성하는 쪽에 있다. 대구의 미래를 위해 통합이전 말고는 대안이 없다는 주장이다. 지금까지 통합공항 이전에 따른 실무를 그가 직접 챙겼다. 그러나 자유한국당내 대구시장 경선 후보인 김재수 전 농림부장관과 이재만 전 최고위원, 이진훈 전 수성구청장 등은 권시장 입장과는 반대다. 대구시가 이전을 발표하면서 시민의 여론을 청취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소음의 주범인 군공항만 이전하는 것이 대구의 실리에 좋다는 판단이다. 접근성이 좋은 민간공항은 존치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대구시민의 60% 이상이 민간공항 존치에 찬성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 같은 공항이전에 대한 지역의 찬반 대립이 포화상태에 다다른 대구공항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느냐 것은 별개의 문제다. 대구공항 이전에 대한 새 정부의 태도는 그동안 보아왔던 것처럼 매우 소극적이다. 정부조차 난제로 보고 어쩌면 손을 뗄 모양새다. 지역내 여론 통합을 요구한 바도 있다.

대구공항 이전이 지역의 중차대한 이슈인 점은 맞으나 대구시장 후보들은 6·13 지방선거에서 이 문제를 핫이슈화 시키는 만큼 실효성을 담보해야 한다. 정치적 셈법으로 공방만 주고받는다면 정부가 볼 때 불필요한 파열음으로 비쳐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금 지방공항의 이전이나 확대에는 별 관심이 없다. 인천공항이 지난달 제2 터미널을 개장하면서 정부의 의도는 드러났다. 정부는 원 포트 정책에 집중하고 있다. 인천공항의 4단계 확장 계획도 지난해에 확정했다. 지난해 1천600만 명을 돌파한 김해공항도 정부의 안중에는 없다. 부산·경남민들이 분노하는 것도 이런 이유다. 대구공항 이슈화도 좋으나 실리를 따지는 지혜가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