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은 유난히 춥다. 엄동설한(嚴冬雪寒)이라는 말이 정말 실감 난다. 지난 4일 입춘(立春)이 지났어도 영하 10도가 넘는 겨울 한파가 전국을 강타하고 있다. 혹독한 추위로 사람들의 마음도 꽁꽁 얼어붙어 도심의 거리마저 썰렁한 분위기다.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다. 우리의 조상들은 이날로부터 봄이 시작한다고 믿었다. 근데 요즘의 날씨로 보아 봄은커녕 한겨울도 이보다 추울까 싶다. 이럴 때 생각나는 고사성어가 있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다.

이 말은 중국의 절세미인 왕소군(王昭君)이 어쩔 수 없이 흉노족 왕에게 시집을 가야했던 딱한 사연을 두고 동방규라는 시인이 지은 시에서 따온 것이다.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는 뜻이다. 요즘처럼 추운 날 딱히 사용하기 적당한 고사다.

봄은 희망의 상징이다. 봄은 새로움과 다시 시작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봄을 이야기할 때는 꿈과 희망을 떠올린다. 긴 추위 끝에 찾아온 따사로움에 대한 반가움이다. 만물이 긴 겨울잠에서 깨어나 새싹을 피우는 자연 섭리에 대한 경외심과 믿음이다.

우리의 조상들은 봄의 문턱으로 들어선다는 입춘 날 각 가정마다 입춘축(立春祝)을 붙였다.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국태민안(國泰民安) 등이 그런 것이다. 가정마다 복이 많이 들어오고 좋은 일들이 올 한해 가득하길 바라면서, 나라와 백성이 편안하길 기원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그래서 입춘날 입춘시에 입춘축을 붙이면 “굿 한번 하는 것 보다 낫다”는 말을 했다. 해마다 되돌아오는 봄이지만 올해도 똑 같은 희망을 염원하는 것이 봄이 갖는 의미다.

민족시인 이상화는 일제 강점기에 우리 민족의 독립을 염원하면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노래했다. 지금 비록 아직 추운 겨울을 넘어서지 못했으나 봄을 희망한 것이다.

곧 다가올 봄을 맞아 올해는 우리 모두에게 희망하는 봄다운 봄이 찾아오면 좋겠다. 봄의 소망이다.

/우정구(객원논설위원)

    우정구(객원논설위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