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윤평중·이진우·전상인·임지현·김석호 지음아시아 펴냄·비소설·1만5천원

한국 시민사회와 민주주의는 어디쯤에 와 있는가? 그 민낯과 속살의 실상은 어떠한가? 어떤 한계에 봉착해 있으며 어떻게 그것을 넘어설 수 있는가? `촛불 너머`의 성찰적 시민사회와 성숙한 민주공화정 국가에 도달하기 위해 지금 여기의 우리에게 없거나 모자라는 `시민`으로서의 자질은 무엇인가?

`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아시아)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연구와 사유의 결실이다.

이 책에서 윤평중, 이진우, 전상인, 임지현, 김석호 등 다섯 명의 국내 지식인들은 저마다 다른 다섯 개의 시선으로 한국사회를 들여다보고 책의 제목이 가리키는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갈 다섯 개의 길을 닦아두고 있다.

윤평중 교수(한신대)는 `삶의 정치와 성찰적 시민사회─진리정치 비판`에서 자유로운 상호비판과 자기성찰을 적대시하는 진리정치의 타성을 극복하고 생활세계에서 사람들이 삶을 구체적으로 살려내는 생명정치로서의 미시정치적 `삶의 정치`의 구현에 대한 통찰과 사유를 피력한다.

이진우 교수(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석좌교수)는 `우리는 어떻게 시민이 되는가?─성숙한 시민사회의 실천철학`에서 압축성장의 국가중심주의가 야기한 한국사회의 문제점이 `시민 없는 국민국가`와 `시민 없는 시민사회`로 압축된다면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조화롭게 의식하고 공동체의 관심사에 적극 참여하는 `개인`의 양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전상인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는 `마음의 습관과 한국의 민주주의`에서 민주주의 마음의 핵심인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의 기본단위로서 `개인`을 주목하고 한국 민주주의가 도입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생략되거나 배제되었던, 인간 존중과 자기 결정을 인격화한 `개인`의 탄생이 `시민`의 미생도 넘어설 수 있는 길이라고 밝혀낸다.

임지현 교수(서강대)는 `기억: 21세기 한반도의 열려 있는 기억 문화를 위하여`를 통해 이념적 대립이 기억의 투쟁으로 전이되는 현상이 뚜렷해지는 21세기 지구적 상황에서 역사의 희생자의식이 국가적 프로젝트에 민중을 동원하는 민족주의적 권력논리를 정당화하는 `희생자의식 민족주의`의 세계사적인 위험사례들을 탐사하고 한국인의 고통스러운 기억들이 타자의 고통과 연대하면서 보편적 인권의 기억으로 진화해야만 이웃과 미래를 향해 열리게 되는 한국 시민사회의 길을 제시한다.

김석호 교수(서울대)는 `한국인의 습속(習俗)과 시민성, 그리고 민주주의`에서 통계자료를 통해 한국인의 `시민성` 수준을 알려주고 민주사회의 존속과 진보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화적 속성인 `시민성`에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가 달려 있기 때문에 개인의 권리와 자율성에 대한 과도한 배타적 강조가 의무보다 권리에 치중해 있는 한국인의 왜곡된 `시민성`을 더 악화시킬 수 있는 소지를 경계하면서, 특히 시민사회 본연의 감시와 견제의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시민`이 권력의 주체로서 사회적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다양한 유형의 행위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역설한다.

한편, `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는 포스텍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가 `미래전략연구` 시리즈로 기획한 아홉 번째 단행본이다. 지난 2013년 2월 포스텍 부설로 출범한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는 미래사회를 조망하고 대응전략을 탐색하는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그 연구 결실들로서 `박태준미래전략연구총서`를 지속적으로 출간해 나가고 있다.

/윤희정기자

    윤희정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