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15일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은 우리나라 지진 관측이래 2016년 경주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지진이었다. 그러나 지진으로 인한 피해만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지진발생 당일 한동대 건물 외벽이 무너지고 99개 학교에서 피해가 접수됐다. 포항 일대 고사장의 파손으로 급기야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일주일 연기되는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전국적 관심을 모았던 포항지역 지진사태가 석달째로 접어들면서 피해 주민의 80%가 이주를 하는 등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고 있다고 한다. 중앙정부와 포항시 등 행정당국의 지원과 전국에서 쏟아진 온정의 손길로 그나마 이렇게 까지 진행된 것은 다행스런일이다.

포항시도 자료를 통해 “지진피해 주민 가운데 80%가 이주를 마쳐 이재민들의 새 보금자리가 막바지를 향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건축 안전진단 결과 위험 판정을 받은 공동주택과 전파·반파주택 이주대상 610가구 중 80%인 488가구 1천239명이 이주를 마쳤다”고 했다. 지진 발생 이후 일주일 만에 환호동 대동빌라 22가구가 첫 이사를 하는 등 두달 동안 488가구가 새보금 자리를 찾았다. 남은 122가구 중 55가구는 1월 말까지, 나머지 67가구는 2월 말까지 이사가 마무리된다고도 밝혔다. 포항시의 신속한 대처, 중앙정부와 경북도의 적극적인 지원,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유기적인 협조 등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설명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순조롭게 진행됐다”고 스스로를 위로할 때는 아니다. 아직도 많은 분야에서 원상회복 시켜야 할 일들이 남아있다. 특히 이주대상에서 제외된 가구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 현재 대피소 2군데에서 생활하고 있는 이재민 217가구 가운데 새 거처를 찾은 73가구를 제외한 144가구는 이주대상이 아닌 것으로 분류되면서 실제로는 이재민 생활을 하고 있는 가구다. 포항시는 이들 가구에 대해 “대부분 소규모 피해가구여서 이주 대상이 아니다”고 말하며 정상적 생활로 복귀토록 설득하는 것 외 뾰쪽한 방법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이들은 주거지 파손 정도를 떠나 지진으로 인한 정신 스트레스와 트라우마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 달리 별도의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옳다. 포항시가 원만하고 빠른 복구를 원한다면 그들에 대한 대응을 소홀히 해선 안 될 일이다. 지난 16일 국회 재난안전대책특별위원회 소속 국회의원 9명이 포항을 찾아 “신속한 복구지원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했다.

피해 정도를 떠나 지진으로 인한 피해에 대응하는 방법을 중앙정부와 협의를 벌이는 적극성이 필요하다. 피해가 작다고 소외된다면 국내 초유의 재앙에 지금껏 잘 대응해온 포항시의 그간 노력에 흠집이 될 수 있다. 유종의 미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