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는 지난 22일 규제개혁 토론회에서 “새로운 융합기술과 신(新)산업의 변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규제는 반드시 혁파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당장 풀어야 할 과제 38개도 선정했다. 4차 산업혁명의 대표적 기술인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 드론산업 등에 대해서는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해서라도 진흥을 꾀하겠다고 했다. `규제 샌드박스`는 신산업 육성을 위해 일정기간 규제를 면제해주는 제도다. 따라서 정부의 의지대로라면 지금까지 규제에 묶여 만들지 못한 자율 주행차, 1인승 전기차, 초소형 삼륜 전기차 등이 만들어 질 것이란 전망이다.

이제 정부의 규제 개혁 강도에 따라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신산업들이 민감하게 움직일 가능성이 커졌다. 그 가운데 지방자치단체 간 경쟁도 치열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대구시는 미래형 자동차, 기계로봇, 물, 의료, 스마트에너지 등 8대 미래전략 산업을 대구의 먹거리로 미리 선정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작년 민관산학연이 중심이 된 거버넌스 형태의 `미래산업육성추진단`을 만들었다. 추진단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정부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타도시보다 앞선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전국 주요 도시들이 같은 목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대구시의 선점전략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짐작된다.

국토부는 대통령주재 `규제혁신 토론회`에서 국토부 소관의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드론 등에 대한 혁신방향을 잡으면서 신사업을 구현할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5곳을 새롭게 선정한다고 했다. 2016년 자율 주행차 시범도시로 선정된 대구시를 비롯한 해당 지자체들이 재차 선정될지는 미지수다. 교통부 관계자도 “백지상태에서 새롭게 선정할 것”이라 했다.

문제는 자율 주행차와 드론산업 등의 특성상 대기업과의 접근성 및 친화성이 높은 도시가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대구시는 전국 처음으로 `전기차 충전기 관제센터`를 설립하고 자율 주행차 전용도로 설치 등으로 전국에서 관련 인프라가 가장 앞선 도시라고 자부하고 있다.

그러나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현대자동차가 서울에서 강원도 평창까지 200km 구간에서 차량이 스스로 운전하는 4단계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인다고 한다. 평창도 경쟁도시가 된다는 의미다. 경기도 화성에는 자율주행 자동차 실험장이 생긴다. 전북, 대전, 제주도 등도 자율 주행차 선도도시 선점에 뛰어들고 있다.

도시 간 경쟁이 날로 심화되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예고하는 신산업은 지자체의 미래 먹거리로 매우 요긴하다. 대구시가 일찍 준비했다고 장담할 일이 아니다. 대구시는 이번 선도도시 지정에 명운을 걸어야 한다. 500만 대구경북민의 미래 먹거리를 찾는 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