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형<br /><br />시인·산자연중학교 교사
▲ 이주형 시인·산자연중학교 교사

모든 일은 시작은 언제나 순수하다. 시작하는 일의 성공 유무는 처음 가졌던 그 순수함을 얼마나 변질 없이 그대로 유지하느냐이다. 누구나 위기를 맞거나, 각오를 새롭게 할 때 구호처럼 쓰는 말이 있다. 그것은 바로 `초심(初心)으로 돌아가자!`이다.

정부는 물론 많은 사람들이 초심을 잊은 듯해서 잠시 이백의 이야기를 인용한다. 상의산(象宜山)에서 공부에 대한 회의를 느낀 이백이 산을 내려오다가 물가에 앉아서 바윗돌에 도끼를 갈고 있는 노파를 보고 그 모습이 하도 의아해 물었다. “할머니, 왜 바위에다가 도끼를 갈고 계십니까?” “바늘을 만들려고!” “이렇게 큰 도끼를 바위에 간다고 바늘이 됩니까?” “그럼, 중간에 그만 두지만 않는다면!” 이 말을 들은 이백은 다시 산으로 올라가 학문에 정진했다고 한다. 여기서 나온 말이 바로 초심불망(初審不忘) 마부작침(磨斧作針)이다.

처음 적폐청산을 외쳤을 때는 많은 사람들이 박수를 쳤다. 왜냐하면 무너진 정의를 바로 세우자는 순수한 뜻에 공감을 해 주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은 최소한 필자의 지인들만큼은 적폐 청산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고 있는 억지에 가까운 일들에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그리고 말한다. `자신들의 반성은 전혀 없이 정권 힘만 믿고 숙청의 칼춤을 추고 있으니 시작부터 불온한 적폐 청산에 놀아난 것이 부끄럽다`고.

도대체 누구를 위한, 또 무엇을 위한 적폐 청산인지 그 저의(底意)가 궁금하다. 분명한 것은 처음 시작할 때의 뜻과는 많이 변질되었다는 것이다. 그 변질에 많은 사람들이 실망하고 있다. 안타깝게도 적폐는 선거 승리용 수단이자 도구로 전락하고 말았다. 지방선거가 가까워질수록 적폐는 정치 복수를 넘어 정치 살인으로 이어질 것이 뻔하다. 지금 정부와 검찰이 적폐와 관련해서 발표하는 이야기는 전혀 신선하지 않다. 선거용 적폐 시리즈에 화만 더 할 뿐이다. 예전에는 술만 권하는 사회였는데, 이젠 욕을 마구 하게 만드는 사회가 되었다.

현 정부에서 하는 일 치고 순수하게 국민을 위한 일이 얼마나 될까. 적폐 청산도 순서가 잘 못 되었듯 정부에서 막무가내로 밀어붙이는 정책들도 순서가 잘 못 되었다. 국민이 먼저가 아니라 선거가 먼저이기 때문이다. 국가 미래야 어떻게 되었던 선거에서 이길 수 있는 인기 영합(迎合) 정책들만 쏟아내고 있으니 답답하고 미래가 불안할 따름이다. 최저임금제도나 지금은 말이 쏙 들어간, 정말 많은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설레게 했던 `비정규직 제로` 같은 정책들에 대해서 필자가 뭐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런데 필자가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교육정책들이다. 고교무상교육이나 대학교 입학금 폐지 같은 정책들은 분명 필요한 정책이다. 하지만 이보다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 의무교육 대상인 대안학교 학생들에 대한 지원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아무리 이야기를 해도 대통령이나 장관은 들으려 하지 않고 있다. 그래놓고서는 그들은 시간만 있으면 말한다. 사회 약자에 대한 배려와 교육의 공공성과 책무성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그래서 필자가 확신하는 것이다. 적폐 청산은 물론 정부 정책은 선거용이라고.

선거가 가까워질수록 지자체장 출마 예정자들에 대한 소식들이 들린다. 그 중에는 지방선거에서 계속 고배를 마시던 구(舊) 야권 인사들에 대한 이야기도 있다. 그런데 그들의 출세 소식을 듣고 필자는 깜짝 놀랐다. 그들은 지금 장관정책보조관, 대통령 비서실 선임행정관 등 모두 공무원이 되어 있다. 그들이 공무원을 포기하고 다시 선거에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다는 소식에 그들의 능력이 부러울 따름이다. 진정한 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우리 모두 초심을 잃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