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환동해지역본부가 포항테크노파크로 이전, 15일부터 업무를 개시했다. 환동해지역본부는 지난해 발생한 포항지진 사태이후 어려움을 겪던 포항지역의 민생안정과 경제 활성화 등을 고려한 정부의 배려로 지난해 11월 행안부의 조기 승인으로 예상보다 빨리 개청했다. 앞으로 경북 동남권 110만 명 주민의 행정민원 처리와 동해안 발전을 위한 전략적 기지로서 역할을 맡게 된다.

기존의 동해안 발전본부보다 기구도 커지고 인력도 늘어났다. 책임자를 2급으로 격상하고 1본부 2국장 7과 2사업소로 재편했다. 인력도 종전 60명 선에서 170명으로 대규모 확대했다. 해양, 수산, 에너지, 원자력, 항만, 독도정책 등을 관장하게 되고 장기적으로는 환동해안 시대에 대비한 전략적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포항시를 비롯한 경북 동해안을 끼고 있는 시군 자치단체로서는 이번 환동해지역본부의 개청으로 무엇보다 생활민원 불편이 해소된다는 점에서 반가워하고 있다. 2016년 경북도청의 안동 이전으로 민원에 불편을 호소했던 주민들의 문제가 풀리고 동해안의 생활현장 민원이 제때 반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기대하고 있다.

경북 동해안지역은 철강산업 등을 주축으로 그동안 경북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왔다. 올 6월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예비자들도 이 같은 동해안권의 전략적 자산의 중요성을 인식, 동해권에 대한 투자를 강조하고 있다. 출마자 다수가 환동해지역본부가 있는 포항에 경북도청 2청사 건립을 내세우고 있다. 경북 인구의 40%가 몰려 있는 동해안지역의 발전을 이끌어 경북의 균형성장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환동해지역본부의 중요성과 역할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다. 특히 포항은 환동해 중심도시로서 준비에 나서고 있는 마당이라 환동해지역본부와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매우 필요하다.

지금 동해안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동해안 원자력에너지 클러스트 조성사업이 새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흔들리고 있다. 원전자산의 절반을 담당하고 있는 지역으로서 갖는 불안감이 심각하다. 향후 정책 변화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주민들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원자력 관련산업으로 생활을 꾸려온 주민들의 입장에서는 경제적으로 상황이 나빠질까 걱정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포항의 지진 후속조치도 마찬가지다. 전례 없던 지진 피해로 도시전체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민심을 추스르고 피해복구에 나서야 하는 일이 간단치가 않다. 철강을 중심으로 한 동해안지역의 경제사정도 비슷하다.

환동해지역본부가 개청했으나 본부가 살펴보고 챙길 일들이 하나 둘이 아니다. 개청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감만큼이나 역할수행에 최선의 노력이 있어야겠다. 환동해지역본부의 출발에 기대를 걸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