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여름 인천의 한 해수욕장에서 13세 학생이 너울성 파도에 밀려 떠내려갔다가 30분 만에 구조된 사건이 발생했다. 평소 수영도 하지 못하던 이 학생이 바다 위에서 목숨을 건질 수 있었던 것은 생존수영법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됐다.

생존수영법은 바다나 강 등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생명을 지키고 구조대가 올 때까지 견디는 시간을 늘리기 위한 목적의 수영법이다. 인천의 이 학생은 수영도 못하고 구명조끼도 없는 상태이면서 누워서 물위에 떠 있었기 때문에 목숨을 건졌다고 한다. 수영 전문가들은 물에 빠졌을 때 허우적거리지 말고 하늘을 향해 몸을 바다에 띄우는 `누워뜨기` 영법만 알아도 “생사를 가를 수 있다”고 말한다.

세월호 사건 이후 생존수영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어린이 생존을 위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생존수영 교육이 의무화되었다. 정부는 국민의 재난 안전사고 예방 및 대처능력 향상을 목표로 초등학생 생존교육을 2020년까지 전 학년으로 확대한다고 한다. 늘어나는 안전교육 수요를 위해서 안전교육 전문 인력을 2022년까지 1만 명 확대하고 안전교육기관도 전국에 100개 이상 지정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했다.

경북의 일선 초등학교들도 향후 확대되는 생존수영 교육을 앞두고 수영장 확보와 강사 채용을 위한 준비에 나서고 있다. 그동안 경북지역은 2015년 생존수영 교육 시범운영을 거쳐 2016년부터는 도내 전 지역으로 확대해 생존수영을 가르치고 있다. 올해는 그 범위를 더 확대할 예정에 있으나 농촌지역의 특수성으로 수영장 구하기가 어려워 실습위주의 수영교육이 제대로 될지 의문이다. 더욱이 생존수영 교육은 수업과정 중 10시간 이상을 편성하도록 돼 있으나 영양, 봉화 등지는 수영장이 아예 없어 학생들이 안동이나 영주, 태백 등지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그나마 타지역 학생과의 수업이 겹치지 않게 시간을 조율해야 하는 어려움도 겪고 있다.

독일 등 선진국의 경우는 생존수영 교육을 통해 인명구조 자격증을 취득하면서 완벽한 인프라를 자랑하고 있다. 일본도 1955년 수학여행을 가던 초중생 168명이 목숨을 잃은 시운마루호 사고를 계기로 지금은 중학교까지 의무교육하고 있다.

의무교육의 확대에 앞서 정부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특히 산촌 오지 학생들의 사정을 고려하면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이 서둘러 이뤄져야 한다. 지난 시험운영 기간 중 교사와 학부모, 학생들 모두가 생존수영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을 감안하더라도 생존수영 교육은 필수다. 효과적인 교육성과를 위해 당국의 인프라 투자는 서둘러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