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얼마 전 도청 신도시 인구가 상반기 중 2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북도는 주민등록상 신도시 상주인구가 작년 12월 말 기준으로 8천63명으로 집계됐으나 주소지를 옮기지 않고 실제 이곳에 거주하는 인구는 1만2천17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올해 경북경찰청, 경북농협 등이 이전하고 일부 아파트 등이 입주하면 신도시의 인구는 2만 명을 훌쩍 넘게 된다는 분석이다.

2016년 3월 경북도청 이전을 시작한 이래 경북도는 신도시 인구 유입을 위한 다양한 정책으로 지금과 같은 성장세를 이룬 것으로 보고 지속적인 인구 유입책을 모색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 같은 신도시 인구 성장세에 반해 경북도청 인근지역인 안동, 영주, 예천 등의 인구는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또 다른 도심공동화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예천읍 인구를 살펴보면 군 전체 인구 증가에도 불구, 이곳은 1년 동안 629명이 오히려 감소했다.

이는 신도시 인근지역의 공통된 현상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대책 또한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예천읍의 경우 젊은이들의 신도시 이탈이 늘면서 지역상권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예를 들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맛고을 거리`는 오히려 도청이전 전보다 장사가 안 된다는 주장이다. 주민들은 “도청 이전으로 땅값만 올라 재산세 및 각종 세금만 늘어났다”는 푸념을 하고 있는 것이다.

경북도의 신도시 인구 유입책이 인근도시 인구를 끌어들였다면 신도시 조성의 의미는 많이 삭감된다. `윗돌을 빼 아랫돌을 막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신도시와 인근 도시 간 인구 유치 경쟁이 벌어지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

충남도청과 전남도청이 이전하면서 신도시 인구 유입에 한계에 부닥친 일을 교훈 삼을 필요가 있다. 충남도청은 2015년 대전에서 내포 신도시로 이전했으나 고작 인구 2만 명에 머물고 있다. 10년이 넘은 전남도청 신도시도 비슷한 상황이다. 행정기관만의 신도시 이전이 갖는 한계점으로 보인다.

경북도는 2027년 기준 안동 풍천면, 예천 호명면 도청신도시에는 10km 반경 아래 인구 10만 명의 도시를 건설한다고 한다. 그러나 단순히 행정기관 이전 등에만 의존할 경우 인구 유입책은 실패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동시에 인근지역 인구를 빨아들이는 블랙홀로 전락한다면 또 다른 도시문제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도청신도시 인구 유입촉진과 신도시 활성화를 위한 산업단지 조성 등 일자리를 통한 인구 유인책이 필요하다. 경북도도 이와관련, 국가산단 건설 등을 계획하고 있으나 지역간 경쟁을 감안하면 쉬운 일도 아니다. 주변지역을 살리며 신도시를 활성화 할 상생의 대책 마련에 더 고심해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