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진 사태에 대한 사후 수습이 한창인 가운데 포항에서 또다시 땅밀림 현상이 추가 발생해 주민들을 불안케 하고 있다. 땅밀림 현상은 토양층이 중력에 의해 서서히 아래 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으로 일본에서는 하루에 1cm만 움직여도 사람의 접근을 막는다.

지난 15일 발생한 지진으로 포항시 용흥동 야산에서는 65cm의 땅밀림 현상이 발생한 바 있다. 그러나 이후 여진이 발생하면서 포항에서는 6일 만에 또다시 28cm의 땅밀림이 추가 발생한 것으로 관측됐다.

이 같은 사실은 국회 예결위 소속 황주홍 의원이 산림청에서 받은 자료에서 밝혀졌다. 황 의원은 “본 지진 때보다 여진이 발생한 뒤에 급격한 땅밀림 현상이 나타난 것은 땅밀림이 연이은 여진에 더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황 의원은 “지진 관련대책 예산에서 땅밀림 복구공사와 경보체제 구축, 전국 땅밀림 조사 등을 위한 예산 130억원을 편성, 산사태 피해 예방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일본에서는 대규모 땅밀림 산사태의 경우 약 100ha 정도까지 피해가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 규모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만큼 위협적이다. 경남과학기술대 박재현 교수는 우리나라는 전체 35개소 정도에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포항의 2개소가 여기에 포함된다고 했다.

땅밀림 현상은 계측기상에는 안전하다고 하지만 눈이 많이 내려 그것이 녹아 들어가면 지하수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얼음이 녹는 봄이나 우수기에 위험한 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일로 본다. 일본 고베시에서 지진이 나고 비가 많이 와서 땅밀림 사태가 더 많이 일어났던 사례가 있다. 유비무환이 대책이다. 빠른 복구 등 행정당국의 정밀검사와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회에서 황 의원은 이와 관련한 대책비로 130억원의 예산 편성을 요구했다. 예산이 확보된다면 현재 2군데뿐인 무인원격 감시시스템의 추가 배치 등 체계적인 경보시스템 도입을 먼저 서둘러야 한다. 또 긴급재난문자 전송조차 되지 않는 땅밀림에 대한 주민경보 체계도 개선해야 한다. 지진 발생시처럼 주민들에게 긴급재난문자가 전송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은 공무원이 전화를 하거니 일일이 방문해야 하는 상황이라 재난시 긴급대피가 사실상 어렵다.

포항시의 이번 지진사태는 우리국민들에게 많은 교훈을 안겨주었다. 우리나라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은 물론이요, 부실한 건축물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재난시스템의 부실, 재난 예산의 부족 등 수많은 분야에서 체험적 경험을 했다. 이번 땅밀림 현상이라는 것도 국민 대다수에게는 생소한 말이다. 그렇지만 국민의 안전에는 한 치의 소홀이 있어서는 안 된다. 땅밀림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곧바로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