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서 열린 본사 주최 `2017 경북에너지 포럼`은 두 가지 의미를 우리에게 전달했다. 먼저 지난 15일 포항에서 발생한 5.4 규모의 지진에도 경북 동해안 일대 원전은 모두가 안전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또 하나는 우리나라 원전의 절반이 몰려 있는 동해안을 낀 경북지역의 미래산업은 원자력과 긴밀한 관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좋다는 지적이다.

새 정부의 탈 원전정책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열린 `경북에너지 포럼`에서 제시된 이 같은 의견은 앞으로 원자력 산업의 중심지역인 경북이 되새겨 봐야 할 것들이다.

이날 포럼에서는 탈 원전 정책이 유지되더라도 원자력 관련산업까지 사라지지는 않는다고 했다. 원자력관련 인프라가 많은 경북지역이 가야 할 방향에 대한 고민을 던져준 대목이다. 특히 원자력 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선행적 노력에 더 분발하라는 지적도 유념할 내용이다. 무엇보다 이번 포항에서 일어난 지진과 관련해 경북도내 원전들의 안전성을 입증해 준 내용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작년 경주에 이어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은 이 지역주민들에게 원자력의 공포를 심각히 전달해 줄만한 사건으로 보아도 좋다. 그러나 한국수력원자력 재난안전팀장의 발표에서 밝힌 것처럼 월성원전 1호기와 월성 2~4호기, 신월성 1~2호기의 안전성이 확보된 것은 퍽 다행스런 일로 보인다.

정부의 탈 원전 정책으로 경북은 지금 매우 혼란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영덕과 울진지역에 건립키로 한 신규 원전사업이 백지화 될 것으로 보이면서 주민들의 반발도 만만치가 않다. 지역경제에 대한 불안감 등이 주된 이유다. 정부의 탈 원전 정책에 주민들의 뜻이 어떻게 반영될지 알 수 없으나 포럼에서의 방향처럼 원전에 대한 경북지역 입장이 새롭게 정리돼야 한다.

경북도는 2028년까지 13조5천억원을 투입,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트 구축에 나섰으나 지금으로서는 대 수정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국내 최고의 동해안 일대 원전 인프라 등을 활용하는 방법은 꾸준히 모색돼야 한다. 전문가들은 탈 원전정책이 유지된다 하더라도 원자력 관련 산업이 사라지지 않을 뿐더러 세계적 추세에도 맞지 않다고 했다. 관련 산업과의 연계성을 찾는 대안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 포럼에서 지적한 원자력연구원 분원의 경북 유치에도 적극 나서는 것이 옳다.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대통령에게 요구한 지진방재연구원의 경북지역 설립도 기존의 원전 인프라와 연계성을 염두에 둔 생각이다.

경북 동해안 지역은 누구 뭐래도 우리나라 최고 원전 밀집지역이다.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도 “경북은 우리나라 원전 발전의 메카”이며 “원자력산업 발전 환경의 최적지”로 인정했다. 원전의 안전과 경북의 미래산업을 담보할 새로운 전략으로 경북의 미래를 꾸며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