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훈 경북도청본사 취재본부장
▲ 이창훈 경북도청본사 취재본부장

포항 지진으로 인해 지역에 엄청난 고통이 닥쳤지만 경북도가 추진하는 지진방재연구원 등 원전안전시설이 경북에 와야 된다는 당위성이 더욱 커졌다.

지난해 경주에 이어 지난 15일 오후 강력한 지진이 포항에 덮쳤다. 지진강도가 경주 5.8에 이어 포항이 5.4로 엄청났을 뿐 아니라 동해안지역이 지진빈도가 높고 위험지역이라는 것을 한 번 더 증명했다. 현재까지 인명을 비롯 시설물 피해 등 아직 정확한 집계조차 나오지 않을 정도의 큰 피해를 입었다.

더욱이 사상 최초로 자연재해로 인해 수능이 연기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이재민들은 말할 것도 없고 시험을 앞둔 수능생들이 `멘붕`에 빠지는 등 피해는 상상을 초월한 채 현재 진행형이다.

포항과 경주 등 동해안에 지진이 빈번한 것에 대해 우려가 크다. 지진은 나지 않아야 될 자연재해이지만 인간의 힘으로 막을 수 없을 경우에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비책이 있어야 한다. 더욱이 이들 지역은 원전밀집지역이기 때문이다.

사태가 이렇듯 확산되면서 국무총리, 행안부 장관, 여야 당수 등 정치권이 잇따라 포항을 찾았다. 이에 발맞춰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이들 주요 인사들에게 현재 정부가 추진중인 지진방재연구원 등의 경북유치 필요성을 적극 건의하고 나섰다.

한마디로 경북도가 추진중인 지진방재연구원 등을 포함, 원자력안전연구단지 등이 경북에 와야 된다는 당위성이 더욱 커진 셈이 됐다. 경북동해안에는 우리나라 원전의 절반인 12기가 밀집돼 있고 이번 11·15 지진과 지난해 9·12지진으로 인해 지진안전지대가 아닌 것이 확인된 만큼 국가차원의 지진대응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재점검해야 된다는 것이 경북도의 판단이다.

이를 위해 경북도는 지진방재연구원을 비롯 원전안전센터 등을 몇 년전부터 공을 들여 준비해 왔고 지난 정부에 이어 현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구중이다.

경북도는 경주에 2021년까지 4년간 총사업비 3천억원을 투입해 지진방재연구원 추진 계획을 이미 세워놓았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소가 지진과 관련한 연구를 맡고 있지만 해저자원, 광물자원과 같은 지질자원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진방재에 대한 연구는 `센터` 규모의 기구에서 담당하고 있는 실정으로, 독립된 지진 전문 국책연구기관의 설립이 시급하다.

특히 김관용 도지사는 “지진이 가장 빈번한 경북 동해안을 `지진대응 국가시범지역`으로 지정해 정부차원에서 과감하게 지원을 하고, 이를 전국으로 확산시켜 나가는 단계별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고 늘 강조해왔다.

경북도는 지난해 `경북도 지진대응 5개년 종합대책`을 내놓은데 이어, 지진대응팀이 일본 고베를 벤치마킹해 경북형 지진매뉴얼과 지진대응 안전앱 개발, 지진·해일 종합 DB구축 등 종합대책의 구체화에 박차를 가하는 등 이미 타 시도를 압도하고 있다.

지진방재연구원은 원전안전연구센터의 한 축이다. 지진방재연구원과 국립안전문화교육진흥원을 비롯 제2원자력연구원, 원전해체연구지원센터, 원자력기술표준원, 방사선융합기술원 등이 원자력안전연구단지 내에 세트로 들어와야 시너지효과를 볼 수 있다.

당초 경북도는 원자력 시설이 집중한 동해안에 원자력클러스터를 만들어 관련 산업을 집중 키운다는 구상을 세웠다.

하지만 새 정부 들어 탈원전정책이 가시화되면서 애초 계획한 원자력 산업 육성과 인프라 구축보다는 안전과 미래기술 연구 쪽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

경북에 이러한 시설이 들어와야 된다는 이유는 차고 넘친다. 하지만 현재 부산과 울산 등과 맞붙어 피를 말리고 있는 형국으로, 결코 장담할 수 없는 분위기다.

경북도는 이번 지진을 반면교사로 삼아 보다 설득력 있는 논리와 이론으로 정부를 설득시켜 지금까지 총력을 쏟아온 과정에 종지부를 찍고 경북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