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규열 한동대 교수·언론정보문화학부
▲ 장규열 한동대 교수·언론정보문화학부

수능.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전국의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시행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이날 이전에 받아온 모든 교육에 대한 평가가 이 한 날의 시험결과에 달려있는 참으로 중요한 시험이다. 십수년 교육의 결과를 어떻게 단 하루의 시험으로 평가하느냐는 반문이 물론 가능하지만, 현실은 어쩔 수 없이 우리 모두를 집중하고 긴장하게 하는 이 날 하루 수능의 날이 밝았다. 마음마저 스산해 지는 수능의 아침에 우리는 우리의 교육이 다음세대에게 정말로 가르쳐야 하는 것을 잘 가르치고 있는 것인지 묻고 싶다. 최근 언론보도들과 교육현장에서 전해오는 목소리들에는, 우리가 가르쳐야 할 것을 가르치기 보다는 아직도 `대학입시`라는 사회적 코드에만 머물러 있는 교육을 하고 있다는 자성과 각성이 물씬 배어있다. 그렇다면 무엇이 잘못 되었으며 어떻게 바꾸어야 하는 것일까.

오늘 수능의 날이 지나고 나면, 고3 교실에는 교육이 실종된다고 한다. 그동안 노력해 온 것을 보상이라도 하는 듯 학생들에게 갑자기 여유로 가득한 시간들이 허용되고 학교에서 누려야 할 내실있는 교육이 그 수레를 멈추고 만다는 것이다. 물론, 이때에도 학생들을 바르게 가르치기 위해 노심초사하는 선생님들이 많이 계실 터이지만, 막상 수능을 마치고 돌아서는 수험생들이 겪는 허탈함과 해방감은 수능 전후 교육현장의 모습이 얼마나 다른지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들 청소년들에게 우리 교육의 목표가 `대학입시`였음을 시인하고 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중등교육이 도달하고자 했던 지향점이 고작 대학입시였는가. 인성교육, 시민교육, 민주교육, 소양교육, 인권교육 등, 교육이 담고자 했던 가치와 덕목들은 참으로 폭이 넓은데, 어쩌다 우리는 달달 외워 토해내는 교육에만 매몰되어 있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이 나라의 교육이 이렇게 흘러가도록 보고만 있을 것인가.

지식의 전문화가 심화됨에 따라 사람이 무엇을 배워 어떤 능력의 소유자가 되느냐는 매우 중요한 결정이며 또한 매우 현실적인 고려사항이다. 하지만, 고도의 전문적 지식만 가지고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조화로운 공동체를 함께 이루어갈 인간을 길러내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자칫 개인의 성공과 영달에만 눈이 어두워진 나머지 더불어 살아가는 건강한 사회를 구현해 가는 일에는 오히려 어려움을 끼치고 불편하게 생각하는 사람을 기를 수도 있는 것이다. 업무능력은 출중하나 인간적 조화에는 실패하는 인성을 만들어낼 위험이 다분하다. 경쟁에서 이겨낼 수 있는 실력을 갈고 닦도록 격려함과 동시에 다른 이들과 어울려 일하는 관계형성에도 손색이 없는 인간을 길러야 하는 것이 아닐까. 모방과 추격으로 이 나라가 20세기에 성공적인 궤적을 그려왔다면, 21세기에는 안정과 화합으로 더욱 서로 믿으며 신뢰하는 공동체로 나아갔으면 하는 것이다. 끊임없는 경쟁으로 지쳐가고 있는 글로벌 공동체에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우리의 교육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실력과 인성이 비로소 조화롭게 길러지는 교육을 기대하는 것이다.

이 나라 교육의 앞날을 위하여 `국민대토론회`라도 제안하고 싶다. 교육이 `백년대계`라는 슬로건은 아직도 우리에게 유효한 것인지 의심이 들 정도로 우리의 교육은 수십 년째 고정된 틀 안에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이를 바꾸어 가는 방식도 그 어떤 증상에 일일이 대증적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정말 `교육의 의미`를 시대적으로 잘 분별하여 참으로 미래지향적인 교육의 지평을 가늠해 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다음세대가 이 나라와 우리 사회를 보다 든든하게 만들어 가려면, 그들이 오늘 받을 교육에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겸허하게 돌아볼 때가 되지 않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