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속 등 측정 해상기상부이
포항·울진 앞바다 두 곳뿐
예보구역도 중·남부로 대별
관측 정확성 떨어지는데다
인력마저 태부족 `설상가상`

동해바다의 해상기상예보가 더 정교해져야 한다는 지적이 강하게 일고 있다.

장비와 인력 등 인프라 부족 등으로 인해 해상기상예보의 정확성이 떨어져 지역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여론이다.

특히 울릉도와 독도를 왕래하는 여객선, 오징어·대게·문어 등 각종 해산물을 조업하기 위해 출항하는 어선 등은 부정확한 기상예보 때문에 생계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주변 해상을 오가는 모든 선박의 입·출항은 당일 기상예보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풍속과 파고는 선박의 항해에 직접적인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기상장비 중 해상기상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장비는 크게 두 종류다. 해상기상부이와 파고부이가 그것이다. 해상기상부이는 주로 먼바다에 설치돼 풍향, 풍속, 기압, 기온, 습도, 파고, 파주기, 파향, 수온 등 다양한 해양기상현상을 실시간 관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고부이는 해양기상부이보다 근해에 설치돼 연안바다의 복잡한 지형에 의해 국지적으로 서로 달리 나타나는 파고, 파주기, 수온 등을 알려준다.

13일 기준 경북 동해안권에는 2개의 해양기상부이와 8개의 파고부이가 설치돼 있다. 파고부이는 포항 월포와 구룡포, 울진 죽변과 후포 앞바다에 1곳씩 설치돼 있으며 울릉도 3곳, 독도 1곳에 배치돼 있다.

반면 해양기상부이는 포항과 울진 앞 70㎞ 해상에 떠 있지만 나머지 해상에는 해양기상부이가 없어 기상정보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포항에서 울릉까지 거리가 217㎞, 울진(후포)에서 울릉까지 159㎞인 점을 감안하면 70㎞당 1곳은 드넓은 바다를 관측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최소한 2~3개의 해양기상부이가 추가로 설치돼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울릉지역 주민들은 수년전부터 보다 안전한 항해를 위해 해양관측장비의 확충으로 동해의 상황을 더욱 촘촘히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동해안 해양기상정보의 구분도 절실하다.

기상청은 동해안 기상예보를 동해 중부와 남부로 나눠 발표한다. 동해중부는 강원도 고성군와 울진을 잇는 해안선을 따라 같은 위도 상에 있으며, 남부는 울진군에서 울산시 서생면까지로 설정돼 있다.

그러나 설정 범위가 400㎞가 넘게 광범위하다 보니 현지 상황과 맞지 않는 기상예보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최소 3구역으로 세분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울릉도 앞바다는 평온한 상황인데 이와 거리가 먼 대화퇴어장이나 일본 대마도 앞바다의 풍랑이 심해 울릉도 여객선까지 운항이 전면 통제되는 경우도 많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울릉도를 오가는 여객선 결항일수는 지난 2014년 100회, 2015년 102회, 2016년 72회로 연 평균 90회에 이르고 있다. 울릉지역 고교생은 수능시험을 치르기 위해 매년 최소 1주일전에 포항으로 나와야 해 컨디션 조절 등에 애를 먹는 경우도 잦다.

이같은 피해는 생업에 나서는 어민들도 비슷하게 당하고 있다. 풍랑주의보가 내려지면 15t급 미만의 어선은 출항이 금지되며, 조업을 나간 어선도 피항하도록 돼 있다. 울릉군 등에 따르면 현재 울릉지역에 등록된 180척의 어선 가운데 15t이상 어선은 23척으로 이처럼 풍랑주의보 등 기상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어선이 대부분이라 어민들은 매일 밤낮으로 기상정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기상관측기관의 인력부족 문제도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상청은 지난 2015년 예보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광역단위 기상대를 기상지청으로 승격시켰다.

이로 인해 대구·경북지역 6개 기상대 중 대구기상대는 대구기상지청으로 승격되고 포항을 비롯 안동·상주·구미·울진 등 경북지역 5개 기상대는 관측기능만 남겨 대구지청 관측예보과 부속기관으로 포함됐다.

포항관측소에는 현재 2명의 공무원과 3명의 용역직원이 근무하며 지역 내 13개의 무인기상관측장비 관리·감시와 함께 업무보고, 관측자료 수합, 장비운용, 기타 국유지 관리 등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

포항관측소는 국내 유일의 세계기상기구(WMO) 지정 오존관측소라는 중책을 수행하고 있지만 인력과 예산이 오히려 전보다 감축돼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상청은 이와 관련, 현재의 장비 및 인력으로도 해양 기상관측 및 예보업무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만,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의 입장에서 지역민들의 요구가 더 많아진다면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는 궁색한 답변을 내놓고 있다.

/이바름기자

bareum90@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