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사람을 멀리하지 않았건만, 사람은 도를 멀리하고 산은 속세를 떠나지 않건만, 세속은 산을 멀리하네. (道不遠人 人遠道 山不離俗 俗離山)”

최치원 선생의 금석문이 충청도 어디에서 새로 발견되었다는 얼마전의 소식은 반가운 일이다.

그분의 학문과 행적은 이미 전설이 되고 말았지만, 그래도 곳곳에 남아있는 흔적은 후학의 가슴에 남는, 아련한 동경이 있다. 선생이 산 이름으로 풀어낸 시 한 귀이다.

살기가 좋아지고 부터, 이제는 산이 오히려 속인을 멀리하고픈 시대이건만, 속리산은 세속을 떠난 숭고미와 정체 모를 신성이 늘 감싸고 있는 곳. 그래서 나도 옛 묵객을 닮아 산으로 든다.

속리산으로의 입산 길은 충북 보은으로 해서 말치고개를 넘어가는 길이 잘 닦여 있다. 상주 화북으로 가는 길도 좋다.

산을 보고자 할 시면 나는 화북 길을 권한다. 관광의 목적이면 아무래도 보은 길이 무난하다.

글쓴이는 첫 번째 입산 길을 화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산뿐 만 아니라, 아직도 5일장이 서는 화북장터와 향수처럼 와 닿는, 흔히 말하는 60년대 식의 작은 관광지의 쇄락한 여관과 점방, ‘도라지 위스키’를 여태 줄 것만 같은 다방을 보았다. 맛없는 식육식당의 짜기만 한 김치도 먹을 수 있었다.

큰 바위 아래로 난 길과 그 골짝으로 흐르는 물은 산이 왜 속리산인지를 알게 한다.

산과 물, 바람, 바위와 흙, 그 외의 내가 표현 못하는 많은 것을 이 산길에서 가질 수 있었으며, 모두 두고 올 수 있었다. 오랜 마음의 우울까지도.

‘층이 쌓인 것이 자연히 그러한 것이 높게 공중으로 솟았고, 그 높이는 알지 못한다. 그 넓이는 3천의 사람이 둘러앉을 만 하고, 대 위에는 물구덩이가 동이만 하게 있어서, 그 속에서 물이 흘러나와 가뭄에도 마르지 않고 비가와도 넘치지 않는다. 이것이 세 줄기로 나뉘어 반공으로 흘러내리는데, 한줄기는 동으로 흘러 낙동강의 발원이 되고, 한줄기는 흘러 남으로 가니 금강이요, 나머지는 서쪽으로 가서 달 천이 되었다가 금천으로 흐른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문장대에 대하여 이리 기록하였다. 그리고 전하기를, 세조가 수십 섬의 약으로도 회복되지 않는 병으로 여기에서 요양할 때, 월광태자가 현몽 중 말하기를, “동쪽으로 15리 올라가면 영봉이 있고 그곳에 올라가 기도하면 신상에 밝음이 있다”하였다. 그곳은 운장대(雲壯臺). 그 운장대 위에는 삼강오륜을 설파한, 한 권의 천서가 있어서 엎드려 기도한 후, 신하들과 강론했다. 이후로 모두 이르길, 문장대(文藏臺)라 한다고 복천사 사적에 나온다. 하늘의 부명이 세조에게 있음을 힘줘 말하려 한, 이런 전설은 다른 명산에도 여러 개 남아서 전한다.

문장대는 높이 1033m의 빼어난 암봉으로 되어 있다.

‘주작을 타고 시원한 바람을 가르듯(정시한,丁時翰)’ 뭇 산들의 조복을 받는다.

어찌 보면 사자의 머리와도 같은 위엄을 지녔고, 또 어찌 보면 곱게 아미를 내려

깐 새 신부와도 닮아있다. 이곳에 거대한 바위 확과 매 바위, 거북바위가 함께 어울려 있다.

<이하우·암각화 연구가>

    윤희정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