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사드 배치로 인한 한·중 갈등이 해소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3월부터 중단됐던 한국단체관광 여행상품이 7개월 만에 등장하면서 업계는 한·중 관계의 의미심장한 변화로 받아들이고 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자동차, 유통, 관광 등 국내 산업계는 조금씩 보이고 있는 해빙 조짐들을 한·중 관계 복원의 신호탄으로 해석한다. 사드배치를 둘러싼 갈등의 골이 컸던 만큼 이번 한중관계 회복에 대한 기대도 그만큼 커 보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특히 중국의 경제보복에 일방적으로 당했던 한국기업의 입장에서는 만감이 교차할 법도 한 일이다. 올해 우리나라의 대 중국 무역흑자 규모는 375억 달러로 집계된다. 중국과의 교역이 활발했던 2013년 628억 달러에 비하면 40%가 줄어든 셈이다. 중국의 금한령(禁韓令) 조치 후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손실액이 8조원에 달한다는 보도를 접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예측할 수 없는 중국의 외교 정책에 어이가 없음을 느꼈다. 우리기업이 양국의 관계가 복원된다는 것에 반색할 수밖에 없는 이유도 이런데 있다. 그러나 한·중 관계가 복원된다고 해도 이제는 우리도 생각을 달리하는 각오가 있어야 한다. 사드보복을 통해 중국이 우리에게 가르쳐 준 교훈을 잊지 말자는 뜻이다. 반면교사(反面敎師)라는 말이 이럴 때 쓰는 말이다. 다른 사람의 부정적 측면에서 가르침을 얻는다는 것인데 두 번 다시 시행착오는 안 되겠다는 의미다.

중국과의 관계는 북한의 핵무기 위협이 있는 한 언제든 다시 갈등 국면을 맞을 수 있다. 중국은 과거부터 변덕이 심한 보이콧 외교를 적절하게 구사해온 나라다. 2010년 노르웨이 노벨위원회가 중국의 반체제 인사인 류사오보에게 노벨평화상을 주었다가 자국산 연어의 중국 수출길이 막혀 애를 먹은 적이 있다. 그 수출 규모가 무려 1조원을 넘었다고 하니 노르웨이 입장에서는 난감했을 것으로 짐작이 간다. 일본도 센카쿠 열도 국유화 조치로 중국의 경제 보복을 받았다. 반면교사는 중국과의 해빙무드가 있는 지금 우리가 되씹을 교훈이다.

/우정구(객원논설위원)

    우정구(객원논설위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