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30년 대구시의 모습이 윤곽을 드러냈다. 대구시는 지난달 30일 대구삼성창조캠퍼스 중앙컨벤션센터에서 공청회를 개최하고 `2030 대구도시기본계획안(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2030년 대구는 275만 명의 인구를 기준으로 10개 중심지를 통해 광역권 중추도시로 성장하는 글로벌 허브도시로 탈바꿈한다. 연말 확정 때까지 폭넓은 여론수렴과 전문성 검토를 통해 수정 보완하는데 빈틈이 없어야 할 것이다.

대구시는 주택보급률이 103.9%에서 106%로, 대중교통 분담률은 35%에서 41%로 상향시키며, 대구시민 한 사람당 공원조성 면적도 4.6%에서 9%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공간구조도 기존의 2도심(중부·동대구) 4부도심(칠곡·성서·안심·달서) 1신도시(현풍) 등 7개의 중심지에서 1도심(중부도심), 4부도심(동대구·칠곡·성서·현풍)에다 5성장유도거점(서대구·월배 화원·수성·안심·불로 검단) 등 10개의 중심지로 재편된다.

광역교통체계는 8개 노선의 고속도로를 유지하고 철도는 산업철도와 공항철도를 추가해 6개 노선으로 계획했다. 도시교통체계에서 간선도로는 4개 순환선도로와 14개 방사선도로를 유지했으며 도시철도는 7개 노선으로, 복합환승센터는 2개소로 구축체계를 형성했다.

토지이용계획은 목표연도 2030년에 인구 275만명의 정주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주거용지 14만7천485㎢, 상업용지 21.28㎢, 공업용지 5만5천668㎢로 모두 22만4천433㎢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했다. 시가지화 용지는 18만706㎢이며 부족한 4만3천727㎢는 시가지화 예정용지로 설정해 앞으로 구체적 개발계획을 통해 시가지화용지로 활용토록 했다.

성장유도거점은 부도심보다 중심성이 약한 지역으로서 장래에 부도심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중심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향후 개발수요는 가급적 시가지화 예정용지보다는 기성 시가지 재생을 통해 압축개발을 유도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어 인상적이다. 무분별한 확장으로 구시가지 공동화 현상 등 개발후유증을 앓곤 하는 부작용을 감안한 바람직한 방향으로 관심을 갖게 한다.

도시관리계획수립의 지침이 되는 도시기본계획은 미래비전을 펼쳐갈 소프트웨어를 극대화하기 위한 결정적인 하드웨어다. 이후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승인을 받기까지 도시계획상임기획단 검토, 지방도시계획위원회 자문, 전문기관의 자문 및 조사연구 의뢰 등의 절차를 거치면서 완벽한 수정·보완작업이 뒷받침돼야 마땅하다. 무엇보다도 예측이 잘못돼 예산이 낭비되거나 도시환경을 망치는 경우가 없지 않은 만큼, 설계보완에 추호도 허점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2030 대구도시기본계획안`이 대구의 눈부신 번영을 견인해냄으로써 시민들의 삶의 질을 한껏 드높여내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