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오랑과 세오녀 설화 모티브
포항문예회관 31일까지 특별전
국보급 유물 10점 등 137점 전시
설화 스토리텔링 영상물도 상영

▲ 국립경주박물관과 포항문화재단이 삼국유사에 전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태양신화이자 포항의 대표적인 설화인 연오랑 세오녀 설화의 키워드를 토대로 4~6세기 포항지역의 주요 유적을 소개하는 특별전 `연오랑과 세오녀전`을 오는 31일까지 포항문화예슬회관 1층 전시실에서 개최하고 있다. 사진은 금제그릇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포항문화예술회관 1층 전시실에서 오는 31일까지 특별전 `연오랑과 세오녀전`이 열린다.

이번 전시는 삼국유사에 전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태양신화이자 포항의 대표적인 설화인 연오랑 세오녀 이야기를 모티브로 해 신라 상고시대 포항의 역사와 문화를 조망하는 전시다.

연오랑 세오녀는 신라 아달라(157년)왕 때 동해안에 살다 바위를 타고 일본에 건너가 국왕이 됐다는 일본 건국신화의 바탕이 되는 설화에 나오는 부부로 일월문화의 상징이며 신라와 일본간의 활발한 문물교류를 말해주는 이야기다.

이번 특별전에 소개하는 전시품은 국립경주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4~6세기 신라 시대 문화재 중 포항지역에서 출토된 포항 학천리 출토 철제갑주 등 137점을 선보이게 된다.

경주 황오동 14호분과 4호분의 금 귀걸이, 황남대총 금제드리개, 금제굽다리접시, 은제굽다리접시, 금관총의 금제그릇과 은제국자와 같은 국보급 경주 왕릉 출토품도 선보인다.

 

▲ 철제투구.
▲ 철제투구.

전시장은 모두 4개의 섹션으로 나눠져 있다.

△제1부는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옥성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고분군인 옥성리 고분군을 소개한다. 국립경주박물관이 지난 1994년 포항 흥해읍 옥성리고분군에서 발굴, 조사해 출토된 2세기 말에서 6세기 무덤 140기에서 발굴된 유물 가운데 다양한 토기류를 중심으로 선보인다.

△제2부는 1998년 농수산물도매시장 건설을 위한 진입로 개설 작업 중에 돌덧널무덤이 발견된 포항시 북구 흥해읍 학천리 고분군 문화재를 만나볼 수 있는 자리다.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에 걸친 나무널무덤·돌덧널무덤·돌널무덤·독무덤·앞트기식돌방무덤 등 다양한 형태의 무덤 400여 기와 고려시대 건물지, 기와요 등이 확인됐는데 이중 철제갑주 등 대표 문화재를 선보인다.

△제3부는 포항의 대표적 신라 비석인`냉수리 신라비`(국보 제264호)와 `중성리 신라비`(국보 제318호) 복제품을 전시한다. 4~6세기 포항이 신라의 영향권 아래 들어갔지만 여전히 마을 최고지배자인 촌주(村主)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음을 중성리비(복제)와 냉수리비(복제)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냉수리 신라비는 1989년 4월 포항 북구 신광면 냉수리에서 주민이 밭갈이하던 중 발견했다. 신라 시대 재산 취득과 사후 재산 상속과 관련한 내용인 231자가 새겨져 있다. 중국 문서에서 보이는 신라 옛 국명인 사라(斯羅)가 최초로 나오고 지증왕 본명이 `지도로`로 나타나는 등 신라 상대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학계에서는 평가한다.

2009년 흥해읍 중성리에서 발견된 중성리 신라비에는 신라 관등제 성립 과정과 신라 6부 구조, 신라 지방통치와 분쟁 해결절차 등 신라 정치·경제·문화 상황을 보여주는 203자가 담겨 있다.

특히 중성리 신라비는 지증왕 4년(503)에 제작한 냉수리 신라비 보다 2년, 울진 죽변면 봉평리 신라비 보다는 23년이 앞서는 신라 최고(最古)의 비로 알려졌다.

 

▲ 2세기 말에서 6세기 포항 흥해읍 옥성리고분군 무덤 140기에서 발굴된 유물 중 다양한 토기류. <br /><br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2세기 말에서 6세기 포항 흥해읍 옥성리고분군 무덤 140기에서 발굴된 유물 중 다양한 토기류.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제4부에서는 포항시 남구 인덕동의 서원고개 산기슭에 분포하고 있는 인덕동 고분 출토 유물을 전시한다. 삼국시대 무덤 12기와 통일신라시대의 건물터가 발견됐는데 그물추 등 당시 사람들의 어로생활을 엿볼 수 있다.

한편, 이번 전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연오랑과 세오녀`설화를 알기 쉽게 풀어 소개한 영상물이다. 학천리 출토 종장판 철제 투구가 북방 고구려 문명을 응용한 하이테크 제철 기술의 집약이라는 점, 학천리와 옥성리 출토 토기가 김해 금관가야 출토품인 점을 통해, 포항과 김해 간 교류 등을 스토리텔링했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국립경주박물관 측은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에서의 핵심은 영일(迎日·포항의 옛 이름) 지역에서 신라의 해에 대한 제사가 이뤄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아울러 어로와 항구, 해돋이의 마을로서의 고대 포항의 모습을 설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시는 이러한 설화의 키워드를 토대로, 4~6세기 중 상고기 포항의 주요유적을 소개한다”고 전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