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희룡<br /><br />서예가
▲ 강희룡 서예가

`곽우록`은 성호 이익(1681~1763) 선생이 지은 정책제안서로 국가의 정책전반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밝힌 책이다. 곽우록이란 뜻은 콩잎 반찬 먹는 사람의 근심을 기록했다는 말이다. 콩잎반찬이란 고기반찬에 대응하는 말로서 신분이 낮은 백성이라는 뜻이다. 말하자면 천한 백성이 정치에 간여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목으로 삼은 것이다. 이 곽우록의 서문에 `정치인들이 잘못하면 국민들은 간뇌도지 당한다.`라는 말이 기록되어 있다. 간뇌도지는 죽임을 당하여 간과 뇌가 으깨어져 땅바닥에 뒹군다는 뜻으로 참혹한 말이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 첫 번째는 `나는 천한 사람이다. 천한 사람의 근심은 백묘(정전법에서 일부(一夫)가 받는 땅으로서 여기서는 농사지어 먹고 사는 농부)의 밖을 벗어나지 않는다. 허나 생각이란 쉼이 없어 혹 신분을 벗어나 참람한 생각도 하니 이는 필부의 죄이다.`라고 보았다. 이익은 자신을 농사지어 먹고 사는 신분이 낮은 천한 백성으로 규정한다. 백성이 신분을 잊고 감히 임금이나 고관대작이 하는 국가대계에 끼어든다는 것은 건방진 일이니 이는 곧 필부의 죄라고 말한다.

두 번째로 `옛날에 동곽조조(동쪽 성곽에 사는 조조라는 이름의 백성을 가리킨다)가 진헌공에게 글을 올려 국가의 정책에 대하여 물으며 육식자가 하루아침 조정에서 잘못하면 곽식자는 중원의 들판에서 간과 뇌가 으깨어 지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신도 또한 깊이 근심하는 것입니다. 만약 마부가 고삐를 놓치면 참승(마부의 곁에 같이 타는 주군의 수행원)이라도 고삐를 잡고 제대로 몰아야 하는 것입니다. 왜냐면 수레가 엎어지면 내가 죽기 때문입니다.` 라고 했다. 여기서 육식자란 고기반찬 먹는 사람이고, 곽식자란 콩잎반찬 먹는 사람이다. 위정자들이 잘못하면 그 화는 백성에게 참혹하게 미치니 목숨이 달린 일에 어떻게 간여를 하지 않을 수가 있겠냐는 것이다. 즉 백성이 천한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정치에 간여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 것이다.

세 번째로 `지금 우리나라가 편안하고 국가의 대계는 치밀하여 끼어들 여지가 없어 보이나, 촉 땅의 개는 눈을 보고 짖고 구멍 속의 개미는 홍수에도 태연하니 본디 사물이란 자신의 역량을 헤아리지 못하는 법이다.` 이 내용은 이제 필부로서 현금의 상황을 보니, 병자호란 이후로 큰 전쟁이 없었고 국가정책도 매우 치밀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것은 겉모습일 뿐, 속 내용이 어떤지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성호 이익이 살던 시기는 격한 당쟁의 시대였다. 모든 국가적 에너지가 당쟁이라는 블랙홀 속으로 빠져 들어간 어찌 보면 정치가 과잉 또는 왜곡, 아니 범람한 시대였다. 다행히 청나라의 안정은 조선을 외침에서 벗어나게 하였지만 당쟁으로 말미암은 폐해는 정책의 빈곤으로 이어져 민생을 도탄으로 내몰았다. 곽우록이란 정책제안서를 지은 것도 이런 상황을 두고 눈뜨고 볼 수만은 없었기 때문이리라.

북한이 6차 핵실험으로 레드라인을 넘자 북·미간 설전의 수위는 이미 임계점에 도달해 전쟁연습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우발적 충돌이 실전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우리와 직결된 이런 중차대한 상황에서 국내정치는 적폐청산과 정치보복이라는 프레임을 펼쳐놓고 입씨름을 벌이기 시작하면서 개혁이라는 본질은 사라지고 저질적인 정치공방만 남아있다. 인터넷의 발달로 토론을 통한 소통이 더 쉽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했지만 정작 상대에 대한 무시와 편견만이 확산되고 있다. 일부는 내 편이 아니면 무조건 이단이라는 종교적 맹신도와 같은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민주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상대에 대한 존중과 배려이다.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한 정치행위의 본질을 벗어나 패거리의 욕망으로 판 자체를 깨는 우를 범하는 것은 결국 국민의 간뇌도지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