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2 군공항 이전 부지 선정을 위한 `대구 군공항 이전부지 선정 실무위원회` 첫 회의가 22일 국방부에서 열렸다. 지난 2월 군위, 의성군을 예비 이전후보지로 선정한 이후 7개월 만이다. 국방부 차관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는 지지부진하던 신공항 이전 사업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읽을 수 있는 회의라는 점에서 우리지역의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이 회의 보다 하루 앞선 21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가진 영남지역 언론사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가덕도 신공항 관련 발언은 `부적절 이상`이었다. 대구통합 신공항 건설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의심케 할만 발언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날 이 총리는 부산지역 기자가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건의하자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는 이미 힘들게 결정한 김해 영남권 신공항 건설을 원점으로 되돌리자는 것과 같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원점으로 돌아간다면 대구통합 신공항도 백지화될 수밖에 없다. 국토부가 “김해신공항을 잘 짓자”고 공식 입장을 밝혔으나 정부의 생각이 대구통합 신공항 건설하고는 거리감이 있어 보이는 대목이다.

대구통합 신공항 문제는 10년 전부터 K2 공군기지 소음문제와 관련해 공론화돼 왔던 지역현안이다. 2013년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됐고 K2를 이전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 것이다. 이렇게 시작한 군공항 이전 문제는 김해신공항 건설로 결론이 났고 별개로 대구통합 신공항 건설로 이어져 온 지역현안이다. 대구통합 신공항은 K2 군공항의 오랜 소음민원 해결과 대구·경북권의 미래 먹거리를 위한 사업으로 지금은 반드시 이뤄져야 할 지역의 숙원과제가 됐다. 내부의 논란이 있더라도 이는 지역에서 극복해야 할 문제일 뿐이다. 정부차원의 지원은 지역 내 논란과는 별개의 문제이다.

이미 대구국제공항은 여객포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구국제공항의 올해 연간 이용객이 300만 명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연간 최대 수용능력 375만 명 수준에 육박하고 있는 것이다. 수용능력 한계를 초과하면 국제선 주기장 포화와 슬롯이 부족해 신규 항공사 유치가 어려워진다. 국제노선 신증설이 어려워지고 이용객의 불편도 커질 수밖에 없다.

이전부지 대상후보지를 선정하고도 7개월 만에 열린 국방부 실무위는 첫날 회의에서 대구 군공항 이전사업을 논의하고 위원회 운영규정을 심의했다고 한다. 이런 속도로는 올 연말까지 통합공항 이전 부지를 확정지을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대구통합 신공항 사업은 이미 10년 전부터 불 당겨진 사업이라는 점에서 사업의 당위성이나 정당성이 매우 높다. 대통령 공약사업으로써 정부의 관심과 의지가 보여져야 한다. 실무위를 통해 이를 입증시켜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