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동반성장 문화가 도입된 것은 얼마전 일이다. 이명박 정권시절 2010년 12월 민간위원회 성격의 동반성장위원회가 출범했다. 여기서는 대·중소기업간 사회적 갈등문제를 발굴, 논의하여 민간부문의 합의를 도출하고 동반성장 문화의 확산을 위한 구심체 역할을 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 같은 국가적 정책에도 우리사회는 불균형과 사회양극화 문제가 곳곳에서 개선되지 않았다. 동반성장위 출범당시 우리나라는 대기업이 기업형 슈퍼마켓(SSM)을 등장시키면서 중소기업과의 갈등이 어느 때보다 뜨거웠던 시절이었다. 국가적 아젠다로 선택하기에 적합한 시기였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출범과 함께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업무에 많은 무게를 두었다.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를 민간중심으로 지정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합리적 역할 분담을 하도록 한 것으로 동반성장의 핵심적 가치에 해당하는 분야다.

최근 포스코가 외주비 1천억 원을 증액해 외주 파트너사 직원들의 처우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고 한다. 포항과 광양제철소에 근무하고 있는 1만5천 명의 외주 파트너사 직원의 입장에서는 단비와 같은 소식이다. 포스코는 10일 사내 하청 상생협의회의 요구를 전격 수용하고 향후 3년 동안 외주비를 점진적으로 늘려 외주 파트너사 직원들의 임금인상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을 위한 약정이라는 점에서 높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빈부격차와 이념대립을 누그러뜨릴 수 있는 선택이었다는 데서 우리는 용기 있는 결정이라고 본다.

이 같은 결정의 배경에는 포스코 노사의 공감과 통 큰 양보가 있었던 것을 우리는 잊지 않고 있다. 포스코 경영실적 증대에 대한 직원들의 기대감을 접고 이처럼 큰 양보를 한 것은 노사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에 동참한 때문이다. 포스코의 이 같은 결정이 또다른 대기업의 동반성장 문화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리는 믿는다. 동반성장의 문화 확산은 우리 사회를 안정화 시키고 성숙화 시키는 계기를 만든다. 포스코가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평가에서 세계 철강업체 최초로 13년 연속 우수기업에 선정된 것도 우연은 아니다. 지속가능경영지수는 세계 상위 2천500대 기업 중 분야별 상위 10%의 우수기업에게 주는 것으로 경제, 환경, 사회 전반에 리스크를 잘 관리해 안정적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본 결과다.

포스코의 외주비 증액으로 외주 파트너사 직원의 임금이 두자릿 수 인상까지 가능해졌다고 한다. 포항과 광양지역 상인들도 반기는 분위기다. 철강경기 부진으로 몇 년째 어려움을 겪던 시중상인들에게도 단비의 소식인 모양이다. 이것이야말로 대·중소기업 간의 상생효과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