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 문제가 지난 24일 대구시청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구·경북(TK)특별위원회가 주최한 토론회에서도 한 치의 성과도 내지 못하고 끝났다는 소식이다.

여당이 된 민주당이 “대구·경북 발전을 위해 앞장서겠다”며 야심차게 발족시킨 특위에서도 이 문제는 원점에 머물고 말았다. 새 정부의 출범에 맞춰 이 문제가 물꼬라도 트일 것이라 기대했던 시민들로서는 실망이 크다. 원론적 문제 제기에만 그치면서 행사를 주최한 더불어민주당이 생색만 낸 게 아니냐는 비판도 나왔다. 더불어민주당은 취수원 이전 공동협의체를 만들어 해법을 모색하자는 것으로 결론을 냈으나 협의체 수준에서 문제 해결책이 나올지는 의문이다.

대구취수원 이전문제는 거슬러 가면 1991년 페놀사건 이후부터 시작된다. 이 사건 후 구미공단 하류 낙동강 수계를 이용하는 대구시민의 식수 오염불안을 해결키 위한 방안으로 제시됐던 것이다. 해묵은 민감 현안이면서 이 문제는 대구시와 구미시 간 대립으로 일푼의 타협안도 마련하지 못하는 상태다. 정부는 당사자 간 합의가 우선이라며 한발 뒤로 빠지면서 12년째 제자리걸음이다.

새정부 출범 후 이낙연 국무총리가 강정고령보를 방문하면서 기대감도 있었으나, 그 역시 한발 빠지는듯한 모습을 보였다. 낙동강이란 광역 수계를 둘러싸고 빚어지는 지자체간 분쟁에 중앙정부가 개입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낙동강 관리의 주체가 국토교통부라서가 아니라 중앙정부의 기능적 측면에서도 그렇다.

이해가 상충하는 지자체의 합의만 바라보는 것은 백년하청일 뿐이다. 여당인 민주당 주최의 토론회에서조차 중앙정부의 개입을 요구하는 강력한 메시지가 없었다는 것은 실망이다. 문제 부각과 변죽만 울리는 대책으로서는 근본적 해결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좀 더 적극적인 대안제시가 있어야 했다.

올여름 장마는 지나갔지만, 대구를 포함한 경북 동남부지역의 강수량이 적어 댐 저수율이 예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대구는 낙동강 수계 66%, 청도 운문댐 25%, 가창댐 등에서 대구시민들의 수돗물 원수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가뭄으로 운문댐 수위가 떨어지면서 낙동강 수계 원수비중이 크게 늘어났다. 75%까지 늘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구 취수원의 낙동강 상류지역 이전의 필요성이 그만큼 절박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도 된다.

대구 취수원 이전은 여당인 민주당의 과제만은 아니다. 야당인 자유한국당도 대구·경북특위를 만들어 이 문제 해결에 적극적 관심을 보여야 한다. 여야 할 것 없이 정치권이 이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나서 힘을 모으는 협치의 자세가 중요하다. 낙동강 수계를 다양하게 이용하는 좀 더 과학적인 방법도 찾아보아야 한다. 특히 영향력 있는 여당의 의지가 중요하다. 성과로 TK 민심을 얻어야 할 것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