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동이 쉽게 숙지지 않고 있다. 살충제 계란 파동에 이어 이번에는 살충제 성분인 DDT가 검출된 닭이 확인되면서 살충제 논란이 열흘째 이어가고 있다. 더욱이 정부의 대응력 부족으로 대국민 불신마저 커져 안전식품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은 좀처럼 가시지 않을 전망이다.

국민은 지금까지 살충제가 포함된 계란을 먹어왔을 것이란 생각에 분노를 느끼면서 그래도 하루빨리 사태가 수습되기를 바라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사태 수습보다 국민을 호도하려다 사태를 키우는 꼴이 되고 있다. “성인은 하루 126개까지 먹어도 위험하지 않다”는 식의 수습책이 그런 것이다. 국민은 도대체 누구를 믿고 식품을 안전하게 먹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살충제 계란 파동에도 경북 최대 산란계 사육단지인 영주·봉화지역 계란은 모두 적합한 것으로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작년 말부터 올초까지 발생한 AI에 이어 살충제 파동에도 무결점 청정지역으로 인정을 받았다는 것이다.

영주의 경우 산란계 3천 수 이상 사육농가 29농가 228만 수, 봉화는 17농가 190만 수에서 생산된 계란 모두가 살충제에서 적합 판정을 받은 것. 이는 축산환경 개선 사업 등 축산농가와 행정이 힘을 합쳐 노력한 결과 때문이다. 영주시는 축산환경개선 사업에 연간 시비와 자부담 등 8억 원을 투입, 사료첨가용 생균제 보급과 축사 내 유해가스 제거 등 쾌적한 축사환경을 만드는데 공들여 왔다. 두 곳은 청정 축산경영이 살충제 파문과 같은 악재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이 된다는 것을 입증한 사례다.

농업계는 윤리축산만이 살충제같은 파동을 막을 유일한 수단으로 지적해 왔다. 윤리축산은 닭이나 소 등을 먹거리 하나로 생각지 않고 사람과 공생하는 관계로 시작하는 축산을 말한다. 닭은 스트레스에 민감하다. 스트레스를 받은 닭이 낳은 계란을 사람이 먹게 된다는 것을 간과하지 말라는 것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닭의 입장에서 사육장을 만드는 것이다. 사육장의 적정 크기는 1평에 10마리 내외로 본다.

우리나라는 윤리축산과 관련한 `동물 인증제`가 있다. 지난 2012년 산란계를 시작으로 2013년 돼지, 2014년 육계, 2015년 소, 염소 등으로 대상을 확대했다. 그러나 친환경인증과는 달리 정부의 지원이 없어 전국 동물복지 축산농장은 132곳에 불과하다.

밀집사육방식이 살충제 계란 등 각종 가축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면서도 당국과 농가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왔다. 대량생산이 필요한 경제 논리에 밀린 탓이다. 가축 질병으로 물어야 하는 비용 등을 감안한다면 친환경 윤리축산을 못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 산업을 키우려면 윤리축산이 답이다. 당국은 국민 먹거리의 안전을 위해 청정축산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