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동이 일주일째 접어들고 있으나 소비자들의 불신은 가시지 않고 있다. 정부가 검사를 통과한 계란에 한해 판매를 허용하고 있으나 시중에서 계란 판매량은 평소의 거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다. 대형마트, 소매점과 재래시장 등은 판매량 급감으로 울상을 짓고 있다. 특히 재래시장 식품가게들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전수검사 등을 통해 문제가 된 계란 등에 대해서는 폐기는 물론 지속적인 검사로 안전성 확보에 나선다고 하지만 시민들의 불신감은 현재로선 장기화 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10일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기자 간담회를 통해 당시 유럽의 살충제 계란 파동을 거론하며 “국내는 문제가 없다”고 장담하던 것이 불과 닷새만에 사건이 터져 식품안전관리에 대한 정부의 무능을 드러냈다. 이어서 친환경 계란에서 조차 살충제 관련 성분이 검출되면서 불신은 걷잡을수 없을만큼 확산됐다. 사태 수습과정에서 당국이 보인 우왕좌왕하는 모습도 불신을 키웠다. 농림축산부는 지난 19일 피프로닐이 검출된 함양군 농가명과 계란의 출처를 알 수 있게 해주는 난각코드를 발표하면서 여러번 번복하는 실수를 연발했다. 불신을 자초했다. 김영록 농림축산부 장관은 브리핑에서 “허용된 비펜트린 농약은 기준치 이하를 사용했다면 평소에 유통됐어도 문제가 없다”고 언급했으나 같은부처 정책실장은 “친환경 인증은 비펜트린도 사용해선 안된다”고 말해 오락가락했다. 특히 친환경 계란에 대한 무절제한 허가 남발과 관리의 부실 등이 노출되면서 친환경제품 전반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소비자들 대부분은 “현재까지 관계당국의 대책에 대해 믿음이 안간다”는 생각이다. 이에 따라 “당분간은 정부의 대응을 지켜보고 구매여부를 결정하겠다”는 태도다.

주부들 사이에는 살충제 계란에 대한 정보공유 분위기도 확산되고 있다. 어린이에게 안심하고 먹여도 되는 것인지, 인체 유해여부는 어떤지를 물어보는 SNS상 정보 공유 분위기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정부 관리능력에 대한 불신의 단면이라 할 수 있다. 또 계란을 이용한 가공식품에까지 불신이 넘어가는 등 정부가 국민을 안심시키기에는 더 많은 노력과 신뢰가 있어야겠다. 사실 여부를 떠나 쇠고기 파동과 같이 살충제 계란 파동도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고가 될 수 있다. 마치 전 정부의 잘못인 것처럼 책임을 전가하려는 정부여당의 태도는 이해할 수가 없다. 국민의 불신을 불식시킬 책임 있는 자세가 먼저다. 그래야 국민도 믿음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조류독감(AI) 파동을 겨우 넘긴 농가에 덮친 살충제 계란 사태는 관련 산업계에 준 충격만큼이나 소비자가 받은 충격도 크다. 국민의 먹거리 관리는 정부가 최종 책임자라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