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품업체 손가락만 빨아
한국개발연구원 보고서

자체 브랜드(PB)상품 활성화가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기업형 유통업체 배만 불려준다는 국책연구기관 보고서가 나왔다.

이익 배분 구조가 공평하지 않아 납품 중소 제조업체는 영업이익은 향상되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납품단가 후려치기`와 같은 불공정거래행위에 제조업체가 강하게 대처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도 지적됐다.

이진국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6일 KDI 포커스 `PB상품 전성시대, 성장의 과실은 누구에게로 갔나?` 보고서에 이러한 내용을 담았다. PB상품이란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에 의뢰해 생산한 제품에 자체 상표를 붙여 파는 상품을 의미한다. 2000년대 중반부터 국내 소매시장에 본격 등장했다.

도입 초기에는 제조업체 브랜드 제품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을 공략했지만, 이후 출시 품목 확대와 고급화를 무기로 세를 넓히고 있다.

이마트 `피코크`, 홈플러스 `싱글즈 프라이드`, 롯데마트 `프라임엘`과 같은 대형마트 PB상품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씨유(CU), 세븐일레븐, GS25와 같은 편의점에서도 PB상품을 많이 볼 수 있다.

대형마트 3사, 대형슈퍼마켓(SSM) 3사, 편의점 3사의 PB 매출액을 합한 규모는 2008년 3조6천억원에서 2013년 9조3천억원으로 5년 만에 2.5배나 증가했다.

PB상품 확산은 유통업체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에 기여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2006~2014년 도소매업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들여다본 결과 PB상품 매출비중이1%포인트(p) 상승하면 점포당 매출액은 평균 2천230만원, 유통이익은 270만~900만원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유통업체 이익이 하청인 제조기업로 이어지는 `낙수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PB상품을 납품하는 국내 제조업체 1천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소상공인을 제외한 모든 기업군에서 PB상품 매출비중이 증가할수록 매출액은 감소했다.

특히 대기업은 PB 매출비중이 1%포인트 올라갈 때 전체 매출액은 10억9천만원 감소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