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일자리창출 우선정책과 맞물려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하지만 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인식부족은 물론 지원제도와 운영방식의 허점으로 인해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각종 지원과 혜택을 노리고 우후죽순 생겨난 사회적기업 상당수가 지원이 끊김과 동시에 경영난을 겪으며 문을 닫거나 휴폐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적기업 정책 전반에 걸친 점검과 개선이 시급하다.

지난 2010년부터 2017년 현재까지 경북에는 총 330곳의 예비사회적기업이 들어섰지만 2년 간의 지원 이후 사회적기업으로 인증을 받은 곳은 90곳에 불과하다. 경북도에 따르면 나머지 240곳 중 115곳은 예비사회적기업으로 2년 간 운영하다 지정을 반납하거나 기간만료 이후 사회적기업 인증을 받지 않았다. 포항에는 고용노동부의 인증을 받은 `인증 사회적기업`이 16곳, 경북도의 승인을 받은 `예비 사회적기업`이 40곳 등 총 56곳이 있다.

전국적으로 1천700여 곳을 헤아리는 사회적기업이 좀처럼 착근하지 못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지속가능한 사업계획을 세우기보다는 정부의 지원을 받고자 단순히 인증 자격 등 구색만 갖춘 곳들이 많은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결국 5년의 지원이 종료되면 업체들이 폐업하거나 스스로 사회적기업 인증을 반납하는 등 사업을 존속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포항지역도 절반 가량은 경영을 중단했거나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정책 자체가 고용 창출을 위한 인건비 지원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고, 경영컨설팅 역시 고작 기초이론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사회적기업들이 자생구조를 갖출 수 있도록 사회서비스 평가지표를 재설정하고 지원정책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사회적기업에 우리가 관심을 둬야 하는 이유는 민간의 자본으로 사회혁신을 이룰 그릇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나온 10년을 바탕으로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사람과 돈, 시장이 혁신돼야 한다. 사회적기업이 일자리 창출의 또 다른 하나의 대안이라는 개념으로 육성에 적극적인 SK 그룹의 활약이 주목된다. 지금까지의 획일적인 사회적기업 지원 정책으로는 사회적경제의 미래를 기약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현재의 사회적기업들이 장수기업으로 될 수 있도록 업종별·성장단계별로 보다 세분화된 지원 체계와 정책이 강구돼야 한다. 열정만 갖고는 어림없다.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과 지식, 정보로 무장한 새로운 인재의 유입도 필요하다. 독지가의 기부와 정부의 마중물에 기대어 연명하던 시기는 지났다. 사회적 금융이라는 틀 속에서 옥석을 가려 `선택과 집중`이라는 새로운 정책방향이 모색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