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회담, 21일 `통일각`서
적십자는 8월1일 `평화의 집`
베를린 구상 후속조치인 듯
성사 여부 현제론 불투명
대화채널 가동될지 `촉각`

정부가 17일 “적십자회담과 남북군사당국회담을 동시에 갖자”고 북측에 전격 제의했다.

이에 따라, 단절됐던 남북대화 채널이 다시 가동될지 주목되고 있다. 북측이 응답할 경우, 지난 2014년 10월 15일 판문점에서 군사당국자 비공개 접촉을 한 지 2년 9개월 만이다.

<관련기사 3면> 서주석 국방부 차관은 이날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군사분계선에서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체의 적대 행위를 중지하기 위한 회의를 제안한다”며 “남북군사당국회담을 7월 21일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개최할 것을 북측에 제의한다”고 밝혔다.

김선향 대한적십자사 회장 직무대행도 같은 시간 서울 중구 대한적십자사에서 “추석 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 개최 등 인도적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적십자회담을 8월 1일 판문점 우리 측 지역 `평화의집`에서 가질 것을 제의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이 같은 제안은 지난 7일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의 후속조치로 풀이된다. 당시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담대한 여정을 시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남측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13만여 명이며, 이중 생존자는 6만여 명에 불과하다. 더욱이 이들의 63%가 80대 이상으로 매년 3천 명 가량이 숨지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회담의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 체계) 배치와 함께 북한의 대륙간탄도탄(ICBM) 발사는 남북의 긴장을 유발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의제를 둘러싼 남북의 힘겨루기도 문제다. 회담 성사 시, 남북은 △MDL 일대의 대북확성기나 전단지 살포용 풍선을 통한 선전·선동 금지 △NLL 우발적 충돌 금지 △북한의 무인기 대남 침투 중단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산가족 상봉 문제도 쉽지 않다. 북한은 지난해 4월 중국 내 북한식당에서 집단 탈북한 여종업원 12명과 김련희 씨 송환 등을 거론하며 “이들의 송환 없이는 이산가족 상봉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정부는 이날 각각의 회담을 제안하면서 공개 브리핑 형식을 택했다. 현재 모든 남북 통신선이 끊겼기 때문이다.

/박형남기자

    박형남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