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폭우에 따른 인명·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산사태 예방·대응 활동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가운데, 경상북도의 산사태 취약 지역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장마철 재해안전에 비상등이 켜졌다.

산사태 위험지역에 대한 방재시설을 보완·보강하는 것은 물론 집중호우에 대한 예보 적중률을 높여 사전 대비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도 산사태 취약지역 주민들의 경각심이 긴요하다.

산림청이 지난해 말 현재 각 시·도 자료를 토대로 파악한 산사태 취약지역은 국내의 대표적 산촌지역인 경북이 3천738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원도 2천32곳, 전남 1천947곳, 경남 1천821곳, 경기 1천651곳의 순이었다.

경북의 경우 산사태 집중관리 대상지역 역시 848곳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가장 많았다. 경남이 537곳으로 뒤를 이었고, 강원이 502곳, 경기 408곳, 전남 302곳이었다.

지난 2007년 이후 10년 간 전국에서 가장 산사태 피해가 컸던 지역은 경남이었다. 경남의 피해면적은 627㏊로 가장 넓고 경기 406㏊, 전북 280㏊, 경북과 전남 각 180㏊, 강원 139㏊, 부산 83㏊, 서울 82㏊, 충남 52㏊, 충북 26㏊, 울산 23㏊, 인천 3㏊의 순이었다.

지난해에도 산사태 피해는 경남이 28㏊로 가장 컸고, 울산 20㏊, 경북 5㏊ 순이었다. 반면, 대구·광주·대전 등 광역시와 제주도는 산사태 피해가 전혀 없었다.

최근 방글라데시·인도 북동부·중국 쓰촨성 등 지구촌 곳곳이 산사태로 끔찍한 재앙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도 강우 발생빈도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강석호(영양·영덕·봉화·울진) 국회의원실이 확보한 산림청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1시간당 50mm 이상 강우 발생 빈도는 지난 1970년대 연 7.4회, 80년대 10.6회, 90년대 13.5회에서 2000년대에는 14.4회로 30여 년 사이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올 여름(7~9월) 강수량이 예년(727.4㎜)과 비슷하지만, 지역적 편차가 크고 8월에는 대기 불안정과 발달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국지성 호우가 잦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집중 호우·지형·지질·임상 요인·인위적 원인 등 산사태 발생의 근인(根因)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철두철미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경북지역에 산사태 위험지역이 가장 많다는 것은 지형적 특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그 동안의 관리에 부실한 요소가 없었는지를 돌아볼 필요가 있는 현상이다.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중대 현안이 아닐 수 없다. 천재(天災)는 대개 예고가 없지만 인재(人災)는 반드시 전조가 있다. 재앙의 조짐을 놓치지 않기 위한 민·관 모두의 각별한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