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소김덕희 지음·소설집문학과지성사 펴냄

한마디의 군살도 허용하지 않는 듯한 단단하고 정확한 문장, 깊고도 오래 숙고된 주밀한 서사, 예상을 뒤엎는 전복과 재전복의 전개로 단편소설의 진수를 보여주는 신예 작가의 소설집이 출간됐다.

2013년 단편 `전복`으로 중앙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래, 4년간 꾸준히 단편소설을 발표하며 한국 소설의 새로운 지대를 형상화해왔다는 평을 받아온 김덕희의 첫 소설집 `급소`가 바로 그것이다.

우선 표제작 `급소`는 작가의 세계관·소설관이 가장 응축된 작품이기도 하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들어왔는지는 아무도 모르는, 발은 수달, 꼬리는 쥐를 닮은 늪돼지들이 출현해 강 주변 습지의 생태계를 장악한다. 그 탓에 강과 연못에서는 토종 어류뿐만 아니라 배스와 황소개구리조차 개체 수가 가파르게 줄어든다. 여기에 정부가 포상제를 도입하니 인간 사냥꾼들이 등장하는데, 늪돼지 수는 줄지만 먹이사슬이 작동한다. 장이라는 인물(장정근)처럼 살육에 능한 사냥꾼만이 이 생태계에서 살아남는데, 그도 최상위 포식자는 아니다. 먹이사슬의 좀더 위쪽에는, 사냥꾼들의 수확물 일부를 갈취하며 생계를 이어가는 관리와 경찰들이 있다. 작가의 눈에 비친 이 악무한의 먹이사슬의 세계.

흥미롭고도 주목할 만한 것은 줄거리가 구성되는 방식이다. 이 소설의 열여섯 살 일인칭 서술자(장민호)는 태어날 때부터 아비 없이 지냈고, 열여섯에 어머니로부터 밀려나 아버지에게로 와 또다시 밀려나지 않기 위해 처절히 노력하지만, 결국 아버지가 휘두른 골프채에 급소를 맞고, 급기야 존속(어머니) 살해 혐의로 체포되기에 이른다.

장과 서술자 나가 부자관계라는 것도, 나가 미필적 고의에 의해 어머니를 숨지게 한 다음 아버지를 찾아온 아들이라는 점도, 경찰이 찾아온 것이 아버지의 살인사건이 아니라 아들의 살인사건 때문이라는 점도 모두 결말에서야 놀라운 반전으로 밝혀진다.

그제야 독자는 작품 앞부분에서 작가가 세밀한 실마리들을 아주 정교하게 매설해놓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며, 그동안의 소설 읽기 체험을 재반추하게 된다. 이 책에 실린 아홉 편의 소설들이, 모두 이와 같이 빼어난 전복과 재전복의 장치를 정교하게 내장하고 있다는 점은 빼놓을 수 없는 이 책의 매력이다.

소설 속 인물들이 설 수 있는 땅을 찾지 못해 낯선 어딘가에서 안착하려고 발버둥 치는 것도 아홉 편의 소설 전반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등단작이기도 한 `전복`에서는 고향을 떠나 원룸에 기거하다 자살하거나 신경증 증상을 겪게 되는 대학생들의 이야기를 통해 단자화된 현대인의 초상이 새겨지며, `절차가 있습니다`와 `하울링`에서는 직장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끊임없이 여행과 일탈에 대한 강박적 욕망에 시달리는 인물들이 그려진다. 언어를 가진 지배 계급과 그렇지 못한 계층 사이에 묘한 갈등이 놀랍도록 아름답게 형상화된 `낫이 짖을 때`에서도 주인공 수복과 그의 아버지는 주어진 환경을 이탈하려는 자에게 가해지는 처벌을 가장 두려워한다.

이러한 두려움, 이러한 불안은, 애초에 무언가로부터 떨려나왔다는 불안에서 발원돼 지금 있는 이곳에서마저 떨려나가게 될지 모른다는 불안으로 한층 더 전도된다. 항상 여기 아닌 어딘가를 꿈꾸며, 동시에 여기 아닌 어딘가로 추방당할지도 모른다는 역설의 불안에 휩싸이는 것은 그들만의 모습일까.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